산업연구원 지역별 소득 유출입 분석..수도권 쏠림 현상 고착화
|
정부가 국정목표로 지방과 수독권의 균형발전 전략을 추진하는 가운데 지방에서 번 돈이 서울 수도권으로 옮겨가는 '지역소득 역외 유출 현상'이 더욱 심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이 25일 발표한 '지역소득 역외 유출의 결정요인과 시사점' 보고서의 16개 시도(세종시 제외)의 지역 소득 유출입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요소 소득 최대 유출지역은 충남으로 24조9711억원에 달했다. 최대 유입지역은 서울로 40조3807억원이었다.
요소소득이란 해당 지역에서 일하는 사람의 근로소득과 지역에 있는 기업소득의 합이다. 지난 2000년에 요소소득의 최대 유출액과 최대 유입액이 각각 10조4601억원, 29조3524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최대 소득 유출입액 간 격차가 늘어난 것이다. 요소소득의 유출 증가액이 높았던 충남, 경북, 울산은 지역내총생산 대비 요소소득 유출액 비중 순위 또한 상위 3위에도 포함됐다.
지역소득 유입액이 가장 많은 곳은 서울이었다. 40조 3807억원으로 16개시도 중 단연 압도적이었다. 그 뒤를 경기도(21조 9464억원)가 이었다. 서울과 경기의 소득유입 합계(62조3271억원)가 나머지 소득유입지역의 모든 유입액의 합계(23조2225억원)보다 약 2.7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은 소득 유출입의 원인으로 근로자의 근무지가 다르거나, 본와 공장의 소재지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서울, 경기에서 다른 지역으로 통근하는 근로자가 많고, 서울 경기에 기업 본사가 많다는 의미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지역에서 고부가가치산업를 육성해도 산업-인력 미스매칭이 심한 도(道)지역의 경우, 고부가가치산업(지식집약산업)의 성장은 타지역 거주 전문인력의 수급을 요구하게 되면서 오히려 해당 지역의 소득유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소득 유입 및 유출지역간 격차는 더욱 고착화되는 추세였다. 소득유출지역과 소득유입지역간의 분배소득 격차는 2000년 403조원에서 2008년 525조원, 2016년 588조원을 기록했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단기적으로 소득유출 완화를 위해 지역화폐, 전략적 기업유치 등의 대책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혁신인력 양성 및 정주여건 개선책이 복합적으로 필요하다"며 "지역 간 분배소득 격차가 줄이기 위해, 소득유출의 원인인 산업, 인력, 정주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병행되는 지역산업 발전전략을 펼쳐야 될 시점"이라고 제언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