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출근 전 새벽 6시, 퇴근 전 오후 5시까지 조기 제설작업을 완료하고, 도로·공원·하천 인근 보행로도 기계식 제설을 실시한다고 1일 밝혔다.
또한 서울 시내 제설 관련 기관 33개에 대한 장비투입 현황·제설 완료 비율 등을 통합 관리한다. 제설이 지연된 곳에 대해선 인근 기관이 출동해 사각지대를 최소화한다. 이와 함께 소금과 염화칼슘용액을 섞어 분사하는 습염식 제설을 통해 도로와 가로수 피해도 줄인다.
서울시는 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를 ‘제설대책기간’으로 정하고 겨울철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해 24시간 상황관리 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강설시엔 시·자치구·도로사업소·서울시설공단 등 33개 기관이 협력해 시민 피해 예방과 신속한 복구에 나선다.
시는 적설량에 따라 △평시 △보강(적설량 1㎝ 미만 예보) △1단계(적설량 5㎝ 미만 예보) △2단계(적설량 5㎝ 이상 예보/ 대설주의보 발령) △3단계(적설량 10㎝ 이상 예보/ 대설경보 발령)로 구분해 대책을 가동한다.
강설이 예상되면 출근을 앞둔 오전 6시와 퇴근 전인 오후 5시까지 제설제 살포를 완료해 시민들의 안전한 출퇴근을 돕기로 했다.
폭설시엔 제설차량을 긴급자동차로 등록, 중앙버스전용차로 이용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한다.
서해 지역 강설 이동 경로에 설치된 폐쇄회로(CC)TV로 하루 전부터 강설 징후를 포착해 눈 오기 전에 장비를 전진 배치하고, 제설제를 사전에 살포하는 등 '제설 골든타임'도 놓치지 않도록 한다.
예측하기 힘든 돌발 강설에 대한 대응도 강화했다. 돌발 강설 시엔 바로 제설 대응 1단계를 비상 발령, 제설차 1100대를 집중 투입한다. 폭설이 내리면 제설 차량을 긴급 자동차로 등록해 중앙 버스전용 차로를 탈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서울시 모든 제설 기관의 장비·자재 현황과 기관별 제설 진행률을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 제설 시스템'을 활용해 효율적인 작업을 지원한다. 제설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제설이 늦어지는 지역에 대해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또 제설제 과다 살포를 막기 위해 표준화된 살포 기준을 마련해 현장에 배포할 예정이다. 기상 상황과 적설량에 따라 제설제 살포량을 직관적으로 알려주는 스티커를 만들어 제설차 내부에 부착하기로 했다. 제설차 뒤편에는 '녹색 선'을 특수 렌즈로 쏴 안전거리 확보를 유도한다.
올해부터 도로는 물론, 공원과 하천 주변 보행 공간까지 기계식 제설을 확대한다. 남산공원, 한강공원, 중랑천 등 57개 노선 229㎞에 소형 제설 장비 117대를 투입할 계획이다.
3152㎞에 달하는 서울시 전체 보도에 대해 구간별 제설 담당자를 지정해 사각지대를 없애고, 제설 취약 구간을 선정해 우선순위에 따라 제설하기로 했다. 보도·이면도로용 소형 제설 장비 543대를 사용해 작업 효율도 높인다.
대설주의보가 발령되면 출퇴근 혼잡시간대 지하철과 버스를 집중 배차하고, 막차 시간도 노선별 특성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연장 운행한다.
김성보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서울시 모든 제설 기관이 신속하고 유기적으로 대응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