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빅데이터로 저출산 문제 해결할 수 있다”

      2017.07.18 16:45   수정 : 2017.07.18 16:45기사원문
“산·관·학은 인공지능(AI)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로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합니다. 일자리·고령화·저출산 문제 해소와 사회 안전망 구축 등에 필요한 인력 및 ICT 자원을 적극 육성하고 활용하다 보면, 관련 산업도 좀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정부가 내세운 ‘사람 중심의 경제성장’이 발전하기 위해선, 국민 눈높이에 맞춘 목표 지향적 연구개발(R&D)이 이뤄져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AI와 ICBM(사물인터넷,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기술을 사회문제 해결수단으로 진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AI와 빅데이터로 기업과 구직자 간 일자리 불일치 등을 해결하고, 클라우드 기반 원격근무나 스마트홈의 사물인터넷(IoT) 센서로 저출산(경력단절여성)·고령화(독거노인) 문제들도 단계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ICT로 사회 문제 해결에 시장 확대까지
KT경제경영연구소 김희수 대외정책연구실장( 사진)은 18일 서울 광화문 KT본사에서 파이낸셜뉴스와 가진 인터뷰를 통해 “정부가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ICT 정책을 세우면 관련 산업도 성장할 수 있다”며 “복지 서비스 등 손에 잡히는 목표를 설정한 뒤, 여기에 필요한 ICT 자원은 무엇일까란 관점에서 민간 참여형 공공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형태”라고 강조했다.

일례로 정부 출연연구기관(출연연)에서 음성인식 기반 AI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R&D 예산을 투입하는 방식은 과거형이다. 대신 ‘정부가 모든 민원을 24시간 대응 체제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란 관점에서 공공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여기에 필요한 음성인식 기반 AI비서나 클라우드 형태 민원 서비스가 개발돼 R&D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김 실장은 또 기존에 구축된 공공데이터나 R&D 결과물도 적극 공유하면 다양한 응용 서비스로 발전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애플 아이폰을 구성하는 멀티터치 스크롤링이나 리튬-이온 전지, 시리(SIRI) 등은 미국 국립과학재단(NSF)과 항공우주국(NASA) 등의 R&D 성과물”이라며 “공공 프로젝트도 미션 지향적으로 전개해 민관이 모두 결실을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AI 활용한 교육 시스템 갖춰야
김 실장은 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불안요인으로 꼽히는 소득 불평등 문제도 ICT로 해소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그동안 지속적인 혁신과 생산성 향상, 자동화를 통해 경제성장을 이뤄왔지만, 이 과정에서 얻어진 결실은 일부 소수에게만 집중됐다”며 “AI를 도구처럼 활용해 개개인의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 시스템을 바꾸고, 기업들의 임직원 재교육을 적극 독려하면 일반 근로자와 가정의 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른바 ‘AI 민주화’다.
실제 미국 기업 콘텐츠 테크놀로지스는 방대한 교육 자료를 디지털로 저장해 매우 작은 단위로 세분화한다. 이후 AI가 학습자 수준과 수요에 따라 최적화된 콘텐츠로 개인 역량을 높여준다.
김 실장은 “일본의 경우, 기업과 구직자를 단순히 연결해주는 게 아니라 구직자가 해당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역량이 부족하다고 여겨지면 이를 보완해주는 교육도 시켜준다”며 “우리나라도 누구나 자신의 상황에 맞게 추천받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학습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