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트럼프 만나 ‘비핵화 진심’ 보여주려 했나

      2018.06.07 17:21   수정 : 2018.06.07 21:04기사원문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전인 지난달 중순께 중거리탄도미사일 시험발사대 등 일부 시설을 파괴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이를 두고 북한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진정성을 보이는 사전조치인지 여부에 대한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우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4월 공식선언한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중지'의 사전조치로 해석하는 시각이 있다.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와 탄도미사일 시험발사대 파괴는 북한의 핵동결 차원 연장선상의 활동이란 분석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번에 파괴한 시험용 발사대는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용이어서 ICBM 시험발사 중지로 해석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미국의 북한전문매체 38노스는 6일(현지시간) 위성사진 분석에서 북한이 지난달 평안북도 구성시 북쪽 이하리 미사일시험장 내 테스트 스탠드(시험용 발사대)를 파괴했다고 밝혔다. 테스트 스탠드는 미사일 사출시험을 할때 미사일을 고정하는 장치다. 이 같은 파괴작업은 5월 둘째주 시작해 같은 달 19일까지 완료했다고 밝혔다.


■파괴시설은 중거리탄도미사일 시험발사대

38노스는 "스탠드는 고체추진제를 사용하는 북극성-2형(KN-15) 중거리탄도미사일과 그 후속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육상기지 발사 탄도미사일 시험에 사용된 유일한 시설"이라며 "2017년 4월 평양 군사 퍼레이드에서 공개된 ICBM 등 대형 탄도미사일을 시험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 시험장에서는 고체연료형 미사일 개발이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지난해 2월에는 IRBM '북극성-2'(KN-15)를 발사해 최대고도 550㎞, 비행거리 500㎞를 기록하기도 했다.

이 같은 조치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 4월 20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3차 전원회의에서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중지'를 공식선언한 데 대한 후속조치로 보인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시 북한은 남북,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핵·무력 병진노선을 종결하고 사회주의경제 건설에 총력집중하겠다는 새로운 노선을 채택한 바 있다. 이와 함께 6차례 핵실험을 진행했던 풍계리 핵실험장의 폐기와 ICBM 시험발사 중지도 공식선언했다.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에 있는 핵실험장은 5월 24일 한국을 포함한 미국·중국·영국·러시아 등 5개국 기자단의 참관 속에 폐기 의식을 진행한 바 있다. 5차례 핵실험을 했던 2번 갱도를 시작으로 4번·3번 갱도와 막사, 지상 관측설비와 연구소, 경비건물 등을 잇달아 폭파했다.

■北의 파괴 의도 아직 파악 중

이번 이하리 미사일시험장 내 시설물 파괴는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의식 전에 이뤄져 북한이 핵·미사일 동결에 대한 진지한 태도를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38노스 운영자 조엘 위트는 "북한이 장거리미사일 계획 중단이 진지하다는 것을 알리는 작은 조치"라면서도 "앞으로 더 큰 조치가 뒤따를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이번에 파괴한 시설은 IRBM 북극성-2형 개발시설이어서 ICBM 유예조치로 보기에는 시기상조란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김동엽 경남대 교수는 "ICBM이라기보다는 북극성-2형 등 실험에 사용되는 설비여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와 연계하는 확대해석은 성급하다"며 "북한의 기술적 차원에서 불필요하거나, 다른 활용을 위해 파괴했을 수도 있다"고 했다. 또 북한이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의식은 대대적으로 공개 발표했지만, 이 시설 파괴는 공식 발표를 하지 않은 것도 이 같은 해석을 낳게 하고 있다.


이와 관련, 한·미 양국 군당국은 관련 동향을 정밀추적해왔다. 군당국은 핵실험장 폐기 시점과 맞물려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발사대 주변의 건물 등은 그대로 있어 의도를 단정할 단계는 아니라고 했다.


하지만 향후 북·미 정상회담의 비핵화·체제보장 로드맵 등에 따라 ICBM 관련 추가적인 조치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