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초 노벨 화학상은 다음 기회로… 유전자 가위 개발한 佛·美 과학자 수상
2020.10.07 21:10
수정 : 2020.10.08 10:59기사원문
2020년 노벨 화학상은 유전자 가위 개발에 공헌한 프랑스와 미국 여성 과학자 2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왕립 과학아카데미는 7일(현지시간)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박사와 제니퍼 A 다우드나 박사를 공동 선정했다. 프랑스 출신인 샤르팡티에 박사는 현재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병리학 교실에 재직 중이며, 다우드나 박사는 미국 캘리포니아대 교수다.
노벨위원회는 이날 "두 과학자가 유전자 기술의 가장 정교한 도구 중 하나인 크리스퍼 카스 9(CRISPR Cas9) 유전자 가위를 개발했다"고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이 유전자 가위를 통해 동물과 식물, 미생물의 DNA를 매우 정밀하게 바꿀 수 있게 됐다.
위원회는 크리스퍼 카스 9 유전자 가위가 생명과학에 혁명적 영향을 미쳤으며 새로운 암 치료에 기여하고 유전병 치료의 꿈을 실현시킬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두 과학자는 유전자 가위 툴로서 적용할 수 있게끔 보편화시켰다.
2017년 암과 에이즈 치료를 위한 임상에 들어갔다. 현재 해외에서는 이 유전자 가위가 시판 직전이다.
이들은 이 유전자 가위 자체가 여러가지 유전자를 정밀하게 타격할 수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2012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 시점을 계기로 유전자 교정기술이 폭발적으로 발전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이승환 박사는 "이 논문 하나가 거의 6000회 이상 인용됐는데, 단기간내 이 정도의 파급력을 가진 논문은 역대 전무후무해 역사를 바꾼 셈"이라고 말했다.
이 박사는 "사실 이 유전자 가위를 맨 처음 발견한 사람은 중동 출신의 프란시스코 모지카라는 미생물학자인데 수상자 명단에 빠진 부분이 조금 아쉽다"고 말했다. 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원래 박테리아에 존재하는 미생물 방어체계다. 모지카 박사가 박테리아에 이것이 존재한다는 것을 처음 밝혀냈었다.
한편, 국내에도 유전자 가위로 유명한 과학자가 있다. 바로 김진수 전 기초과학연구원 유전체교정연구단 단장. 김진수 전 단장은 1세대부터 3세대 유전자 가위를 모두 다룬 과학자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가 전폭적으로 주목을 받게 된 2012년보다 훨씬 이전인 1990년대부터 연구해 왔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