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해양바이오시장 키운다… 시장규모 10년내 2배이상 확대
2021.01.14 18:43
수정 : 2021.01.14 18:43기사원문
■국내 해양 바이오시장 2.4배 확대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14일 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2030년까지 우리나라 해양바이오 시장 비전을 제시한 '글로벌 해양바이오 시장 선점전략'을 발표했다.
이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해양바이오 시장을 지금보다 2.4배 확대한 1조2000억원으로 확대한다. 시장조사 업체 글로벌인더스트리어낼러시스에 따르면 2027년 해양바이오 시장 규모는 54억달러(5조9000억원 규모)로 예상된다.
송명달 해양환경정책관은 "국내 해양바이오시장은 해양생물(소재) 정보가 부족하고 소재 대량확보도 어려워 기업들의 시장진입 리스크가 크다"며 "현재 약 390개 관련기업도 대부분 영세하고 사업화 성과 창출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해수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적 R&D 투자와 중점 육성기술 지원, 우수기술 제품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해양바이오기술 수준을 최고 선진국 수준인 85%(2017년 기준 79%)까지 높이고, 소재 수입 의존도를 50%(2019년 기준 70%)까지 낮출 계획이다.
해양 바이오 선도기업인 독일의 바스프 SE는 의약품용 고순도 오메가3를 주력제품으로 생산, 2019년 73조원의 매출을 올렸다. 스위스 론자그룹(6조3000억원)은 식물플랑크톤 활용 건강식품, 프랑스 세픽(3조원) 등도 해양식물 화장품 등을 대표제품으로 보유하고 있다.
■정부 R&D지원, 거점단지 조성
해수부는 R&D 지원과 함께 서해, 남해, 동해 등 해역별로 특성화 거점을 조성할 계획이다. 먼저 서해에는 2023년까지 해양바이오 산업화 인큐베이터를 2023년까지 건립할 계획이다. 또 인천항 배후부지 내 해양바이오 특화단지를 조성한다. 남해는 소재공급 기지 역할로 2023년까지 완도에 해조류 기반 바이오소재 생산시설을 조성한다. 동해는 융복한 연구거점으로 육성해 강릉 해양바이오사업본부, 울진 KIOST 동해연구소 등 연구허브로 키운다.
해수부에 따르면 현재 해양생물 약 33만종의 1%만 활용되고 있다. 해양소재 사업화 성공률은 일반 신약개발과 비교했을 때 1.7~3.3배 높다는 것이 해수부 설명이다. 다만 일반 제약분야와 달리 해양소재 활용 이력 및 효능, 임상정보 등이 부족해 진입장벽이 높다. 또 우리나라의 전문인력과 자금 부족 문제 등이 걸림돌이다. 해양 신약,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등 해양바이오 사업화가 성공하려면 대규모 자본을 가진 대기업의 참여도 필수적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해양바이오 기업도 위탁생산(CMO) 시설을 이용해 소재를 생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삼성바이오로직스 같은 기업도 참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제약회사가 신약을 개발하면 이를 대량생산하는 CMO업체다. 송 정책관은 "거점단지 조성의 경우 바이오협회와 바이오기업, 지자체 등과 협의해 MOU를 체결하고 기업 유치 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