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굿둑 생태 복원 추진…매월 대조기마다 바닷물 유입
2022.02.10 10:46
수정 : 2022.02.10 10:46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낙동강 하굿둑의 물길이 35년 만에 상시적으로 열리게 되면서, 낙동강 하구 일대의 생태계 복원이 본격적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이달 중순부터 하굿둑 상류로 바닷물을 유입해 연말까지 연중 자연 상태에 가깝게 기수역을 조성하고, 이에 따른 하굿둑 상·하류의 생태·환경·시설 영향 등을 지속해서 관측할 예정이다.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서면 심의를 통해 이같은 내용의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방안'을 의결했다고 10일 밝혔다.
낙동강 하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철새 도래지이자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이다. 그러나 지난 1987년 하굿둑 건설 이후 출현 어종이 줄고, 식생 변화로 철새가 줄어드는 등 생태적 가치가 훼손됐다.
이에 정부는 2017년부터 하굿둑 수문을 시범 개방해 염분 피해 없이 용수를 공급하는 방법과 기수생태계 복원 요령을 터득했다. 바닷물 유입 이후 하굿둑 상류에서 뱀장어, 농어 등 기수어종이 더 많이 관측되기도 했다.
이번 복원방안은 시범 개방 결과와 민관협의체 의견 수렴 등을 거쳐 마련됐다.
우선 매달 대조기(음력 보름 또는 그믐 무렵. 밀물 수위가 높은 시기)에 수문을 열어 바닷물을 유입한다.
단, 하류 지역 용수 공급에 문제가 없도록 하굿둑 상류 15㎞ 이내로 기수역을 조성한다. 이곳은 낙동강 본류와 서낙동강이 갈라지는 대저수문 지점이다.
염분이 하굿둑 상류 10~12㎞ 지점에 도달하면 바닷물 유입을 중단하고, 서낙동강 유역 염분 피해를 방지한다.
하굿둑 건설 이전 생태계와 기후, 여건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생태계를 복원한다. 기수역 장기 조성 영향과 생태복원 성과 분석에 필요한 중장기 관측계획도 수립한다.
용수 수요가 많은 서낙동강 유역은 염분 유입 방지와 수질 개선을 동시에 추진한다.
하천·토양·지하수 염분을 관측해 관계기관, 전문가, 지역 주민에게 알리고, 피해 방지 방안을 함께 마련한다.
중장기적으로 대저수문과 운하천 시설을 개선해 서낙동강 유역 염분 유입을 차단하고 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한다. 시설 개선 이전에는 염분 피해를 막기 위해 상류 댐·보와 하굿둑을 연계 운영하는 비상방류 체계를 구축한다.
낙동강 하구 기수생태계 복원성과를 활용·확산하는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
지역사회 중심의 '낙동강 하구포럼(가칭)'을 구성·운영해 △기수생태계 복원방향 △하구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 △농·어민 상생 및 소득증대 지원방안 등 다양한 주제를 폭넓게 논의할 예정이다.
이진애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이번 복원방안 의결로 낙동강 하구가 가진 소중한 자연성의 가치가 회복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농·공·생활용수 확보에 문제가 없도록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