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쌀가루 빵·면'으로 5년내 밀가루 수요 10% 대체
2022.06.09 12:55
수정 : 2022.06.09 12:55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밀가루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쌀가루인 '분질미' 보급을 늘려 오는 2027년까지 밀가루 수요의 10%를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밀가루를 쌀가루로 대체해 식량안보를 강화하고, 쌀 수급 균형까지 달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통해 2027년 밀 자급률을 기존 대비 0.9%포인트 상향한 7.9%까지 올린다는 목표다.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분질미를 활용한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했다. 정 장관은 "윤석열 정부는 식량안보를 튼튼히 해야 한다는 시대적 소명을 다하기 위해서 식량주권 확보를 농식품 분야의 핵심 국정과제로 설정했다"며 "분질미를 적극 활용해 쌀 가공식품 산업을 활성화함으로써 밀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쌀 수급 과잉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2027년까지 분질미 20만t 공급
농식품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2020년 기준 7조3000억원 규모인 쌀 가공산업을 2027년까지 10조원 규모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주로 떡이나 주류, 즉석식품 등에 국한된 쌀 가공식품 범위를 넓히고 수입에 의존하는 밀가루 수요를 쌀로 대체하겠다는 복안이다.
전분 구조가 단단해 가루를 만들기 위해 습식제분을 해야 하는 일반 쌀가루와 달리 분질미는 밀처럼 전분 구조가 둥글고 성글게 배열돼 건식제분이 가능하다. 지난해 25㏊에서 분질미를 재배해 119t을 생산, 빵이나 과제, 면 등 다양한 기존 밀가루 제품에 적용했다.
이에 농식품부는 분질미 재배 전문생산단지를 조성하고 직불금 지원, 농가 기술 지도를 통해 안정적인 원료 공급 기반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2027년까지 분질미 20만t을 시장에 공급한다는 목표로 4만2000㏊ 수준의 일반 벼 재배면적을 분질미로 전환한다. 올해는 기존 분질미 재배 농가, 농촌진흥청, 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을 활용해 분질미 재배면적을 100㏊로 확대한다.
또 2023년부터 공익직불제 내에 전략작물직불제 신설을 추진해 참여 농가에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밀 전문 생산단지를 중심으로 밀-분질미 이모작체계도 유도해 분질미 재배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분질미 전량 공공비축미 매입…빵부터 면·튀김까지 활용
분질미의 안정적인 생산과 공급 기반 확충을 위해 공공비축제도도 활용한다. 식품·제분업계에 시료를 제공하고, 연구개발을 지원해 분질미 전략 제품도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먼저 정부는 매년 3~5월에 농가별로 분질미 매입 계약을 체결한 후 수확기에 농가가 생산한 분질미를 공공비축미로 매입한다. 이 공공비축미는 밀가루를 대체하고자 하는 실수요업체에 특별 공급할 계획이다.
쌀가루를 활용해 전략적으로 소비 가능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 식품기업 등 대량 수요처와 손잡고 연구개발과 사업화도 추진한다.
올해는 분질미와 쌀가루 1t을 CJ제일제당, 농심미분, 농협오리온 등 식품·제분업체와 제과제빵업체에 제공해 이달 제분 특성과 품목별 가공 특성을 평가한다. 내년에는 업체 제공 물량을 100t 수준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정부는 케이크, 카스텔라, 제과·과자류 등 비발효빵류는 물론 밀가루 함량이 낮은 어묵, 소시지 등에 분질미를 사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나아가 소면이나 우동면 등 면류, 식빵 등 발효빵류, 튀김가루 등 분말류, 만두피 등은 분질미와 밀가루를 혼합해 제조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특히 글루텐프리 등 쌀 가공식품에 특화된 식품인증제도를 알려 시장을 육성할 계획이다.
글루텐은 밀이나 보리 등 일부 곡물에 함유된 단백질의 종류다. 서유업이나 북미, 호주 등에서는 밀가루 알러지가 있는 사람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 글루텐프리 인증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글루텐 프리 세계 시장 규모는 78억6000만달러로 올해부터 연평균 8.1%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정 장관은 "2027년까지 분질미로 연간 밀가루 소비의 10%를 대체하고, 국산 밀 생산을 7% 이상으로 대폭 늘리면 수입 밀 수요는 당연히 감축될 것"이라며 "지금까지 식량자급률이 하락해 46%선까지 내려가 있는데 2027년에는 52.5% 수준으로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honestly82@fnnews.com 김현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