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인 미분양 대책 시급한 이유
2022.11.02 18:29
수정 : 2022.11.02 18:29기사원문
최근 레고랜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사태로 발등에 불이 떨어지고 나서야 부랴부랴 대책을 내놨지만 시장은 개선될 기미가 보이질 않는 상황이다. 이미 너무 늦었다는 지적이다. 열흘 만에 정부 정책이 극과 극을 오가는 모습을 연출하기도 했다. 경기도 안성, 양주 두 지역이 9월 25일까지 ‘조정대상지역’이었다가 고작 열흘 뒤인 10월 5일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된 것이다.
앞으로 사태를 더 키우기 전에 이 같은 사후약방문식 규제완화에서 벗어나 미리 점검해서 대응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현재 가장 위험해 보이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핵심 뇌관은 '미분양'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4만1604호로 전월 대비 27.1% 증가했다. 부동산 시장의 침체기에 분양가까지 높아지면서 미분양 리스크는 더욱 우려되는 상황이다.
자금여력이 탄탄한 건설사들은 견디겠지만 그렇지 못한 건설사는 줄도산할 수도 있다. 부실한 중소건설사 몇 개만 망하면 끝나는 문제가 아니다. 11년 전 저축은행들이 무너져 내린 원흉이 바로 PF대출이었다. 당시 저축은행에 돈을 맡겼다가 찾지 못하게 된 서민들의 울부짖음이 아직도 생생한데 2022년에 또다시 그런 비극이 재현돼서는 안된다.
전동보트를 타면서 어느 정도 연습이 되고 나니 미리 좌회전을 해서 올바른 곳에 도착할 수 있었다. 부동산 시장도 과거에 겪은 뼈아픈 교훈이 있기 때문에 더 큰 사태가 발생하기 전에 적극적인 미분양 대책을 미리 적용, 시장의 연착륙을 유도할 수 있어야 한다.
true@fnnews.com 김아름 건설부동산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