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IT기업의 거대 언어모델 가능성 확인… 수익화 숙제"
2023.08.31 18:15
수정 : 2023.08.31 18:32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는 국내 기업들이 잇따라 내놓고 있는 초거대 AI와 관련해 △국내 초거대 AI의 장점 △수익모델 △데이터 저작권 등 주요 의제에 대한 지상좌담회를 진행했다.
―국내 기업들이 출시·개발 중인 초거대 AI의 강점은?
▲김명주=네이버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X'를 직접 써보니 한국 사투리나 고려·삼국시대 기록과 같은 역사·문화 분야에 대한 결과를 잘 알려줘서 챗GPT보다 성능이 나았다.
▲김주호=네이버는 한국형 AI가 왜 필요한지 잘 보여줬다. LG는 계열사가 다양하고 배터리·화학·전자 등 전문영역들이 있어 계열사에서 쓸 수 있는 특화 AI로 포지션을 잘 잡았다.
▲이성엽='하이퍼클로바X'는 한국 특유의 문화나 한국어 관련해선 장점이 있다. 네이버의 학습대상 자체가 블로그나 카페 등 다른 외산 모델이 접근하기 어려운 데이터이기에 그렇다.
▲전창배=국내 기업 LLM은 한국어 데이터를 가장 많이 학습한 것이 장점으로, 질문을 한국어로 했을 때 결과가 바로 나오기에 사용자 만족도와 답변 품질이 더 높다.
―초거대 AI 수익모델, 아직 모호한데.
▲김명주=B2C(기업·소비자간 거래)보다 기업이나 산업군별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낫다. 기업 입장에선 AI 도입으로 인건비를 많이 줄일 수 있어야만 합리적이라고 느낄 것이다.
▲김주호=기업들이 AI 가능성은 인정하지만 돈을 내고 쓸 가치가 있는지, 믿을 만한 결과를 주는지 물음표가 있다. 원천적 기술이 필요하고 전문영역에서 기술 역량을 더 키워야 한다.
▲이성엽=B2C보다는 B2B(기업간거래)에서 기업들이 필요한 것을 제휴로 해서 모델화하는 건 가능할 거다. 애플 iOS, 구글 안드로이드처럼 수익을 공유하는 모델로 갈 수 있을 거다.
▲전창배=챗GPT처럼 개선된 AI 모델을 유료화할 수 있고 API를 제공해서 기업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익모델도 나오고 있다. 검색 엔진처럼 광고가 붙을 가능성도 있다.
―국내 기업들 입장에서 비용 절감이 관건인데.
▲김명주=AI 개발사 입장에서는 돈이나 엔지니어, 데이터가 필요해서 비용이 계속 들어갈 수밖에 없다. B2B 사업을 통해 수익을 내도 투자한 것 이상 수익이 나와야 하는데 쉽지 않다.
▲김주호=작은 회사들은 자체 모델 개발하기엔 역량과 자원이 부족하다. 소수의 직접 모델을 만드는 네이버, LG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회사들이 이들의 서비스를 쓰는 고객이 될 것이다.
▲이성엽=도메인별로 각 기업에 특화된 AI 서비스를 별도로 구축하면 시스템통합(SI) 서비스 같은 형태가 된다. 이 경우 기업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보안 이슈는 물론 비용도 줄어든다.
▲전창배=빅테크 기업들이 개발·공개한 클라우드 형태의 API를 쓰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정 분야에 특화된 소형 LLM 운용 프로그램을 서비스해서 수익화하는 방식이 현실적이다.
―AI 학습을 위해 공짜로 활용하는 뉴스 등 콘텐츠에 사용료를 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데.
▲김명주=뉴스가 AI 학습대상이 되고 있는데 저작권이 있는 데이터로 여겨야 한다. 문제는 건건마다 저작권을 행사하면 기술 발전이 더딜 수 있어 1년 단위로 보상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김주호=관련 사안들이 쟁점이 되기 시작하는 시기다. 저작권 콘텐츠를 무분별하게 긁어서 학습 데이터로 쓰는 건 문제가 있다. 다양한 논의를 통해 기준이 만들어져야 하는 상황이다.
▲이성엽=뉴스 콘텐츠에 저작권이 있는 만큼 당사자 간 합의를 통해 적절한 대가를 지불하는 게 맞다. 다만 국가 차원 가이드라인을 정하면 AI 스타트업들은 비용 문제로 사업을 못 한다.
▲전창배=관련 법이 조만간 만들어져 생성형 AI 기업들이 뉴스 등 저작권 데이터를 돈 주고 사야 하는 때가 올 거다. 콘텐츠 기업들이 정당한 대가를 받는 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solidkjy@fnnews.com 구자윤 김준혁 임수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