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우리 '조직 활력과 혁신'..신한·하나는 '안정 속 본업 경쟁력'

      2023.12.24 16:16   수정 : 2023.12.24 16:16기사원문

[파이낸셜뉴스]주요 금융지주 자회사·관계사 최고경영자(CEO) 후보 인사가 마무리된 가운데 KB국민·우리금융은 '조직 활력과 혁신'에, 신한·하나금융은 '조직 안정 속 본업 경쟁력 강화'에 방점을 찍은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지주 CEO의 대대적인 세대교체가 마무리된 후 첫 연말 인사에서 각 그룹의 지향점이 명확히 드러났다는 평이다. 내년 글로벌 경기 둔화에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 국내외 금융권 현안이 산적한 만큼 금융사들이 전반적으로는 '안정형 인사'를 단행한 것으로 풀이된다.



양종희號 '전문성'..임종룡號 '혁신 진행 중'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국민·신한·하나·우리) 자회사·관계사는 지난주까지 차기 CEO 후보 추천을 마무리했다. 각 그룹 회장의 내년 조직 운영 방향을 살펴볼 수 있는 바로미터다.


우선 KB에서는 '예상보다 큰 폭'의 인사가 있었다. KB금융지주는 지난 14일 계열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이하 대추위)를 열고 8개 계열사 중 6개 계열사(KB증권 WM부문·손해보험·자산운용·캐피탈·부동산신탁·저축은행)에 신임 CEO 후보를 추천했다. 전문성에 기반한 안정적 지배구조, 계열사 핵심인재 발탁을 통한 조직 활력이 핵심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각 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내부 전문가를 많이 발탁한 것이 특징"이라며 "은행원 출신으로 CEO가 된 양종희 회장 인사스타일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지역적으로도 골고루 분배를 하려고 한 것 같다"고 말했다. 새로 추천된 후보들은 △영남권(증권·이홍구, 캐피탈·빈중일, 저축은행·서혜자) △호남권(부동산신탁·성채현) △충청권(손보·구본욱) △수도권(자산운용·김영성)으로 한 쪽에 쏠림이 없었다.

취임 9개월을 맞은 임종룡호(號) 우리금융은 여전히 혁신이 진행 중이다.

우리금융은 그룹 M&A(인수합병)를 담당하는 사업포트폴리오부를 전략부문으로 재배치했다. 우리금융이 보험, 증권으로 진출을 지속 추진하는 가운데 M&A담당 부서를 '핵심부문' 산하로 바꾼 것이다. 조직문화 혁신을 강조해왔던 임 회장의 의지는 기업문화혁신 테스크포스(TF)를 기업문화리더십센터로 확대 개편한 것에서도 나타난다. 동시에 임원 중에서는 부문장 한 명만 교체해 조직 안정화를 꾀하고 부사장·전무·상무로 나뉘었던 임원 직위체계를 부사장으로 일원화했다.

■"내부통제·소비자보호" 택한 진옥동·함영주
신한금융과 하나금융에서는 무리한 성장보다는 내부통제 강화, 조직 안정에 방점을 둔 인사를 단행했다. 지난 3월 23일 신한금융지주 회장에 취임한 진옥동 회장은 이번 인사와 관련 “성과와 역량을 검증 받은 자회사 CEO를 재신임함으로써 CEO가 단기 성과에 연연하지 않고 중장기 관점에서 과감한 혁신을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라며 책임경영을 강조했다.

실제로 지난 19일 열린 신한금융 자회사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자경위)는 신한투자증권, 신한캐피탈, 신한저축은행 등 9개 자회사 CEO를 모두 유지키로 했다. 신한은 기존에 업무 영역이 비슷한 부문을 통합해 현재 11개 부문을 새해부터 총 4개 부문으로 통합한다. 지주사 경영진도 현재 10명에서 6명으로 축소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신한금융은 내부통제와 소비자 보호라는 메시지가 명확하다"면서 "무리한 영업보다 누구라도 수긍할 수 있는 적정한 성과를 내자는 분위기가 형성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2025년 3월 임기 종료를 앞두고 '가장 중요한 한 해'를 보내게 된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도 '숨 고르기'를 택했다는 분석이다.

하나금융은 지난 14일과 18일에 거쳐 10개 자회사 중 7개 CEO를 연임 추천키로 했다. 하나생명보험과, 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 하나손해보험을 제외하고 모두 연임키로 한 것이다. 그룹 임추위는 "위험관리에 기초한 영업력 강화와 기초체력을 다져 지속가능한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직 안정이 최우선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함 회장은 지난 3일 그룹 출범 18주년 행사에서 "지금까지 성장을 위해 열심히 달려왔지만 더 큰 도약을 위해서는 어느 시점에서 잠시 숨을 골라야 한다"며 '미래를 위해 숨 고르기를 할 시점'이라고 밝힌 바 있다.

각 사마다 색깔은 다르지만 불확실성 속 리스크 관리를 고려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H지수 ELS와 부동산 PF 등 현안이 산적하기 때문에 이 문제를 가장 잘 알고 있는 책임자가 끝까지 마무리하는 차원에서 각 금융지주의 인사 폭이 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봤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