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행정·지자체

새누리 당대표·최고위원 '親朴' 휩쓸어.. 박 대통령 국정운영 탄탄해진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6.08.09 22:01

수정 2016.08.09 22:01

'호남출신' 이정현號 출범
새시대 연 새누리당.. 조원진·이장우·최연혜 등 최고위원에 친박계 포진
비박은 강석호 홀로 당선
사상 첫 호남 출신 새누리당 당수로 선출된 이정현 새누리당 신임 대표(왼쪽 세번째)가 9일 서울 올림픽로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제4차 전당대회에서 신임 최고위원들과 함께 두 팔을 들어올려 승리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연혜.강석호 최고위원, 이 대표, 조원진.이장우 최고위원, 유창수 청년최고위원. 사진=김범석 기자
사상 첫 호남 출신 새누리당 당수로 선출된 이정현 새누리당 신임 대표(왼쪽 세번째)가 9일 서울 올림픽로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제4차 전당대회에서 신임 최고위원들과 함께 두 팔을 들어올려 승리의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최연혜.강석호 최고위원, 이 대표, 조원진.이장우 최고위원, 유창수 청년최고위원. 사진=김범석 기자

'새누리당은 근본 없는 대표를 선택했다.'

집권여당인 새누리당의 새 대표에 헌정 사상 처음으로 호남 출신의 '정치적 흙수저'인 친박근혜계 이정현 후보(3선.전남 곡성)가 선출됐다.

보수정당 사상 정치적 소외지였던 호남 출신의 당 대표가 영남권이 주류인 새누리당 대표로 선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말단 당직자 출신에서 박근혜 대통령에 의해 발탁돼 '비서실장' '대변인' 역할에 이어 청와대 정무.홍보수석을 거치며 정치적 불모지 호남에서 3고지 등정에 성공한 '박(朴)의 남자' 이 의원이 대선을 1년 앞둔 시점에 집권여당의 새 수장이 되는 이변이 연출됐다.

이 대표 스스로 앞선 정견발표에서 "모두가 '근본 없는 놈'이라고 등 뒤에서 비웃을 때도 저 같은 사람을 발탁해준 박근혜 대통령께 감사하다"며 "말단 사무처 당직자 시절부터 시작해 이때까지 16계단을 밟아 여기까지 온 저 이정현에 대해 사람들은 놀랄 것"이라고 강조한 것이 현실이 된 것이다.


이 신임 대표는 9일 서울 올림픽로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차기 당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제4차 전당대회에서 대의원 투표와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합산한 결과 총 4만4421표를 획득, 3만1946표를 얻는 데 그친 대구.경북(TK) 출신의 비박근혜계 주호영 의원을 따돌리고 1위에 올랐다.

전남 곡성 출신의 영남당 대표 출현은 그동안 영남권을 기반으로 한 엘리트 계층이 주류로 대접받던 새누리당의 정치적 기반을 송두리째 흔들 만한 대격변의 결과물로 해석된다.

새누리당의 정치적 불모지인 호남에서 지역구 재선에 성공한 데다 말단 당직자 출신으로 청와대 참모까지 지낸 만큼 입지전적 인물사로 기록되게 됐다. 특히 대통령의 복심인 청와대 수석비서관에서 '친정'인 집권여당 대표까지 등극한 것도 정당 사상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이로써 지난 2012년 대표에 오른 황우여 전 대표에 이어 4년 만에 친박 주류가 당권을 거머쥐면서 4.13 총선 참패로 물러난 김무성 전 대표의 비주류를 교체하게 됐다.

게다가 최고위원단도 같은 친박계인 조원진.이장우.최연혜 후보가 포진해 비박계인 강석호 최고위원 당선인을 제외하곤 이 신임 대표까지 친박계 주류가 당 지도부를 장악하게 됐다.

이 신임 대표는 당선 소감을 통해 '계파 청산'과 '지역주의 타파' '민생 챙기기' '야당의 시각과 여당의 책임감으로 모든 현장에서 답을 찾을 것'이라고 밝혀 향후 당 화합과 소통.혁신 추진, 민생정당 및 수권정당으로서 고강도의 당 체질개선 작업을 예고했다.

특히 당 구조를 섬기는 리더십으로 전환해 국민 신뢰를 회복함으로써 내년 대선에서 반드시 정권 재창출을 이루겠다는 포부도 강조했다.


이와 함께 '낡은 특권정치 타파'와 '공천제도 대수술' '유능하고 따뜻한 혁신보수정당 완성' 선언을 통해 강도 높은 정치개혁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도 밝혔다.

친박 지도부 등장으로 박 대통령의 친정체제가 더욱 공고해지는 한편 임기 후반기 성공적 국정과제 마무리를 위해 당·정·청 간 정책조율 기능이 강화되고 고위급 소통채널도 복원될 전망이다.
일각에선 오히려 비박계의 반발 강도가 세지고, 당·청 관계 강화가 야권의 공조를 강화시킬 수 있어 정국경색 가능성과 함께 집권여당이 청와대에 종속될 수 있다는 부정적 시각도 나온다.

haeneni@fnnews.com 정인홍 조지민 이진혁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