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에서 목숨 걸고 직언한 충신은 적잖다. 신라 최치원과 그의 증손 고려 최승로가 대표적이다. 최치원은 당나라에서 벼슬할 때 '토황소격문'을 지은 대문장가였다. 모반을 주도한 황소가 놀라 말에서 떨어졌다는 고사가 말하듯…. 다만 그가 진성여왕에게 올린 '시무 10조'는 유실됐다. 반면 최승로가 성종에게 올린 '시무 28조' 중 22조가 남아 있다. 유교에 입각한 중앙집권 확립을 지향한 한계는 있었다. 그러나 "국가의 큰 행사(연등회, 팔관회)는 백성의 부담이 크므로 삼간다." "왕은 교만하지 말고, 아랫사람을 공손히 대한다"는 대목은 '돌직구 상소문'으로 손색이 없다.
옛 상소문 형식을 빌린 '시무 7조'라는 국민 청원이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진인(塵人) 조은산'이라는 이 청원인은 현 국정의 난맥상을 신랄히 풍자했다. 예컨대 "집값이 11억이 오른 곳도 허다하거늘, 어느 대신은 '현' 시세 11%가 올랐다는 '미'친 소리를 지껄이고 있다"며 김현미 국토부 장관을 직격했다. "수도 한양이 천박하니 세종으로 천도해야 한다는 '해'괴한 말로 백성들의 기세에 '찬'물을 끼얹고"라고 이해찬 전 여당 대표를 겨냥한 것도 마찬가지다.
지난 24일 청와대 게시판에 오른 청원은 동의자 수가 부쩍 늘었다. 비공개 처리로 논란을 빚다 공개 전환 하루 만에 청와대의 답변요건을 채웠다. 설령 이 30대 후반 평범한 직장인의 지적이 다 맞진 않더라도 충언역이(忠言逆耳·바른 말은 귀에 거슬린다)라는 사자성어는 되새겼으면 싶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