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오미크론과 동거, 재택치료 인프라가 관건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1.24 18:32

수정 2022.01.24 18:32

金총리 설 귀성자제 호소
1만명대 확진자 대비해야
김부겸 국무총리가 24일 설 연휴 중 고향방문 자제를 호소하는 등 코로나19 확산 사태와 관련한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스1
김부겸 국무총리가 24일 설 연휴 중 고향방문 자제를 호소하는 등 코로나19 확산 사태와 관련한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스1
김부겸 국무총리가 24일 코로나19 방역과 관련,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했다. 오미크론 변이발 5차 대유행 조짐 속에 설 연휴 고향방문 자제 등 국민의 협조를 호소하면서다. 국내 검출률이 50%를 넘어서는 등 오미크론이 우세종화하면서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7513명을 기록했다. 사흘째 7000명대 규모였다. 이에 따라 문재인 대통령이 오미크론 대응체계로 전환하라고 지시했지만, 만시지탄이란 느낌이다.
더 늦기 전에 정부와 의료계가 긴밀히 협력해 비상한 대응에 나서기 바란다.

방역당국은 지난 연말부터 "오미크론 대응체계로 신속히 전환하겠다"고 예고했었다. 그러다 신년 들어 "확진자가 한 번이라도 7000명 선을 넘으면"(14일)이라고 했다가 "7000명대가 평균이 되는 시점이 되면"(20일)으로 말을 바꿨다. 이렇게 오락가락하는 사이 검사건수 감소로 확진자 수가 줄어드는 주말 이틀 동안 연일 7000명 넘는 확진자가 쏟아졌다. 기존 델타 변이보다 오미크론의 전파력이 2~3배 강하다는 전문가들의 소견을 경시한 대가다. 중동순방 후 재택근무 중인 문 대통령이 이날 "정부가 오미크론 대응을 선제적으로 준비해 왔다"고 했지만, 공허하게 들리는 이유다.

그렇다 하더라도 이제라도 방역 울타리를 제대로 고쳐야 한다. 오미크론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체계 대전환은 투 트랙으로 접근해야 한다. 우선 제한된 의료역량을 고위험군에 집중하는 한편 폭증이 예견되는 경증 환자를 맡을 동네 병·의원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정부는 전자를 지향한다면서도 후자를 준비하는 데 소홀했다. 몇몇 지역에선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고위험군에만 실시한다고 예고했지만, 신속항원검사와 경증 확진자 진료를 맡을 호흡기 전담클리닉 명단조차 내놓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머잖아 1만명대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예측한다. 그렇다면 정부가 말로만 신속한 오미크론 대응체계 구축을 되뇌고 있을 때가 아니다.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고 했다.
이른바 K-방역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도 명심해야 할 경구다. 오미크론 대확산 사태가 오기 전에 환자 모니터링 등 재택치료 인프라를 확실히 갖춰야 한다.
의료인력이 제한된 동네 병·의원에서 야간에 재택환자를 어떻게 원격 모니터링할 것인지는 물론 이에 따른 보상 등 세부사항에 이르기까지 정부와 의료계가 사전 공감대를 마련하기 바란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