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안윤주 교수팀, 나노플라스틱이 열매까지 확산
이후 열매 씨앗으로 자란 식물까지 나노플라스틱 전달
이후 열매 씨앗으로 자란 식물까지 나노플라스틱 전달
13일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건국대 안윤주 교수팀이 완두를 대상으로 미세·나노플라스틱의 이동을 관찰한 결과를 공개했다.
현대 사회에서의 플라스틱 사용이 불가피해지면서 플라스틱 오염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환경으로 유입된 플라스틱 폐기물이 다양한 요인에 의해 미세하게 쪼개지면서 다양한 생물에 노출되어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세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국민적 우려가 높아짐에 따라 생물체 내 미세플라스틱의 거동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식물은 인간과 동물의 식자원이다. 연구진은 앞선 연구를 통해 미세·나노플라스틱이 식물의 뿌리로 흡수돼 줄기와 잎까지 도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엔 식물의 열매를 비롯해 해당 식물의 후세대로의 나노플라스틱 전이에 관해 살펴봤다.
우선 200nm 크기의 형광 폴리스티렌 미세·나노플라스틱으로 오염된 흙에 완두를 약 60일간 키워 완두콩을 수확했다. 완두콩을 살펴본 결과, 완두콩의 배아와 떡잎에서 미세·나노플라스틱이 확인됐다.
또 이 완두콩을 미세·나노플라스틱에 오염되지 않은 흙에 심어 14일간 키운 뒤 관찰한 결과, 표피보다 세포간 및 세포내 공간에서 미세·나노플라스틱이 관찰됐다.
안윤주 교수는 "이는 미세·나노플라스틱이 외부에서 유입된 것이 아닌 수확한 완두콩 내 배아와 떡잎에 분포했던 미세·나노플라스틱이 식물 전체 세포로 이동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즉, 미세·나노플라스틱에 직접 노출되지 않은 후세대 식물도 어미세대 식물을 통해 미세·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는 식자원으로 사용되는 완두를 통해 나노플라스틱의 후세대 전이를 확인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토양환경으로부터 식물로, 식물에서부터 완두콩으로 전달되는 나노플라스틱을 정량화하는 연구를 통해 상위 생물종 또는 인간에게 이동하는 나노플라스틱의 양을 추정할 계획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결과를 환경과학분야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해저드스 머티리얼스(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발표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