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에서 생성된 혈청 아밀로이드 A 단백질, 류마티스 관절염 일으키는 핵심 매개체로 작용
[파이낸셜뉴스] 최근 간에서 생성된 혈청 아밀로이드 A가 혈관을 타고 관절에 도달해 류마티스 관절염을 일으키는 핵심 매개체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표됐다.
25일 가톨릭대의대 창의시스템의학연구센터 김완욱 교수팀은 연구를 통해 혈청 아밀로이드 A가 관절염을 악화시킨다는 병리기전을 학계 최초로 밝혔다.
연구팀은 신체의 염증이 지속되는 환경에서 간으로부터 과도하게 생성된 혈청 아밀로이드 A가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을 교란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물질은 혈액을 타고 멀리 떨어진 관절에도 영향을 끼쳐 류마티스 관절염을 일으키는 핵심 물질로 작용한다.
또 다양한 세포생물학적 실험을 통해 혈청 아밀로이드 A가 단핵구라는 면역세포를 혈액으로부터 관절 안으로 빠르게 이동시키고 이 세포를 강력하게 흥분시켜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의 분비를 자극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혈청 아밀로이드 A에 의한 병리 현상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응용이 가능한지 확인 연구에 돌입했다. 연구 결과, 혈액 내 혈청 아밀로이드 A의 농도에 따라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염증 상태가 잘 반영됐고 약물치료 후 염증이 감소됐다.
특히 IL-6를 억제하는 약물인 ‘악템라’로 치료 시 가장 뚜렷하게 혈청 아밀로이드 A가 줄어들었다.
실험용 생쥐에서 혈청 아밀로이드 A의 작용을 차단하는 중화항체를 혈관 내로 주입할 경우, 관절염의 진행이 억제됐다. 이는 혈청 아밀로이드 A가 류마티스 관절염의 새로운 타깃으로 치료에 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간과 관절 간 상호교류가 면역세포 활성화와 만성 관절염의 원인으로 중요하다는 새로운 병리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혈청 아밀로이드 A가 바이오 마커로서 류마티스 관절염의 진단과 치료에 새롭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amila@fnnews.com 강규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