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권역응급의료센터 7곳 중 6곳 '진료제한'
- 응급의학과 비대위 2차병원 응급실 의사들도 사직에 가세 가능성
-"2차병원 응급실 의사 사직 시작되면 대학병원 감당 못할 것"
- 응급의학과 비대위 2차병원 응급실 의사들도 사직에 가세 가능성
-"2차병원 응급실 의사 사직 시작되면 대학병원 감당 못할 것"
[파이낸셜뉴스] 의정갈등이 8주차에 접어들면서 응급의료 현장이 한계에 직면했다.
9일 의료계에 따르면 현장을 지키는 의료진들이 번아웃을 호소하는 가운데, 서울시내 권역응급의료센터 대부분은 진료 차질을 빚으며 환자를 가려 받는 중이다. 현 의료 사태가 나아지지 않으면, 응급의학과 전문의들도 사직을 포함해 구체적인 행동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8일 기준 서울시내 권역응급의료센터 7곳 중 6곳은 '진료 제한' 메시지를 표출하고 있다. 권역응급의료센터란 중증·응급환자 진료를 담당하는 거점 병원으로, 상급종합병원 또는 300병상을 초과하는 종합병원 중에서 지정된다. 지난해 5월 기준 전국에 44곳이 있다.
서울에는 서북권에 서울대병원, 동북권에 고려대안암병원·서울의료원, 서남권에 고려대구로병원·이대목동병원, 동남권에 한양대병원·강동경희대병원 등 7곳이 있다. 이날 기준으로 서울의료원을 제외한 6곳의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일부 진료를 제한 중이다.
서울대병원 응급실은 오후 6시 이후 안과와 이비인후과 진료를 제한하고 있다. 고려대안암병원도 인력 부재로 안과 응급 수술이 불가능하다고 안내했다. 고려대구로병원은 이비인후과, 이대목동병원은 성형외과 진료가 일부 제한되고 있다.
한양대병원은 응급실 인력 부재로 비응급·경증 환자는 물론 중증외상 환자도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소아 환자의 진료도 불가능하고, 정신과 입원환자도 수용할 수 없는 상태다.
강동경희대병원은 성형외과와 치과, 정신건강의학과 환자의 응급실 진료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환자들의 최후 보루인 응급의료체계도 무너질 위기에 놓였다.
대한응급의학과의사회 이형민 회장은 지난 7일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브리핑에서 "남아 있는 의료진들의 피로와 탈진은 한계에 다다르고 있고, 교수들의 업무 단축은 앞으로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어 “이번 사태가 조속히 해결되지 않을 경우 응급실 사직을 포함한 구체적인 행동을 준비할 것이고, 이미 이와 별개로 수많은 전공의가 자발적으로 현장을 떠났다”며 “지난 30년간 피땀 흘려 지켜온 응급의료 체계는 붕괴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호소했다.
현재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번 사태가 조속히 해결되지 않을 경우 2차병원 응급실 의사들도 사직을 포함한 구체적 행동을 준비할 전망이다.
camila@fnnews.com 강규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