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기술 中―자원 ‘윈윈 결합’
2004.04.26 11:06
수정 : 2014.11.07 18:56기사원문
중국의 동북3성 개발계획에 대한 우리 기업의 참여는 신중한 검토가 전제되어야 하겠지만 현재로서는 비즈니스 측면에서 많은 수혜를 안겨 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이 계획은 지난 2002년 11월 후진타오 국가주석과 원자바오 총리를 중심으로 한 이른바 ‘4세대 지도부’가 본격 개발을 선언할 때만 해도 주변국에 현실화에 대한 의구심을 자아냈다.
외국인투자유치를 위한 ‘에드벌룬’이란 지적도 있었지만 내년 중반쯤 11차 5개년 국가사회발전 계획 발표때 동북 3성 진흥을 위한 예산이 안배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 정부의 의지가 확고하다는 ‘징후’가 잇따라 확인되고 투자매력도 풍부한 주요 투자처인 점을 감안하면 정부의 ‘연내 탐색전’이 끝난 후 기업 투자가 수면위로 급부상할 전망이다.
◇중국 4대 경제권역 육성 개발=총면적 79만㎢에 2002년 기준으로 1억715만명의 인구를 둔 동북 3성은 풍부한 지하자원을 토대로 이미 1930년대 공업화의 닻을 올린 지역이다.
그러나 80년대 이후 중국의 개혁·개방효과가 본격 진행되면서 국유기업이 비대하게 성장한 탓에 도태돼 실업률 증가와 도시빈곤층 확대를 불러 중국 경제의 ‘천덕꾸러기’로 전락했다.
중국 지도부는 이 때문에 동북 3성에 ‘채무의식’을 지니고 있으며 더 이상은 방치하지 않고 몽골, 한반도, 러시아와 국경을 둔 우수한 입지조건을 살려 물류중심지로 탈바꿈시키겠다고 결심했다.
주강삼각주, 장강삼각주, 징진탕지구와 함께 중국 4대 경제권역으로 키우겠다는 게 주요 골자다.
이에 따라 중공업 도시인 선양을 둔 랴오닝성은 공업기반 및 금융중심지로, 지린성은 물류중심지, 헤이룽장성은 첨단기술을 보유한 외국기업의 본거지로 각각 육성키로 확정했다.
◇한국 첨단업종 유치 ‘러브콜’=중국 정부의 한국기업의 투자요청은 지난해 말부터 꾸준히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3개성의 고위 관계자들이 잇따라 방한, 우리 정부와 대기업, 경제단체를 만나 양국간 경제협력 현황과 개발계획을 설명하고 투자를 희망하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서부대개발에 중점을 뒀던 중국의 개발계획이 요즘은 동북 3성쪽으로 크게 강화되는 양상”이라며 “랴오닝성장의 경우 중국 정부 상무장관으로 영전, 차세대 주자로 떠오르면서 이 지역 개발에 매우 강한 의욕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 지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은 3000개 업체에 이르지만 대부분 중소기업인데다 건당 투자액은 중국 전체 건당 규모액인 88만달러의 절반 수준인 46만달러에 머물러 있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는 지역 경제에 큰 파급효과를 부를 수 있는 첨단산업 중심의 대규모 투자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산자부 관계자는 “중소·중견기업은 현지 정착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중국 정부는 조선과 철강은 물론, 이례적으로 대단위 물류센터를 포함한 서비스 유통·물류분야의 투자를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 국유기업 M&A기회도 될 듯=학계에서도 동북 3성의 풍부한 유전, 석탄, 유연탄 등 에너지·자원부문 개발에 대한 투자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헤이룽장, 랴오닝에는 철강, 화학제품, 중장비, 자동차, 군수산업 중심의 전통국유기업이 산재해 있어 국내 기업들의 인수합병(M&A)을 통한 비즈니스 확충 기회도 주어질 전망이다.
중국 정부가 시장국유기업 개혁 일환으로 경영과 자본, 기술 노하우를 받아들이기 위한 M&A시장 개방 지침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조현준 중국팀장은 “랴오닝성은 특히 전통 중화학 공업 기지로 산업구조상의 중화학과 경공업의 연계공장이 잘 갖춰져 있어 일관된 산업 연관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lmj@fnnews.com 이민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