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혈액관리 체계 만전/변재진 보건복지부 차관
2006.12.17 14:42
수정 : 2014.11.04 15:04기사원문
혈액은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 요소이다. 의학이 발달해도 아직까지 혈액을 인공으로 만들 수 없기 때문에 건강한 사람의 헌혈을 통해서만 혈액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혈액은 헌혈자 개개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감염 등 위험성이 상존하며 보관할 수 있는 기간이 짧아(적혈구 35일, 혈소판 5일) 장기간 비축할 수 없어 수급 조절이 어려운 특성이 있다.
우리나라의 혈액사업은 지난 70년 혈액관리법이 제정되면서 체계적으로 정비되기 시작했다. 그 이전에는 영리성 사설 혈액원과 의료기관이 주로 매혈을 통해 혈액을 공급했다. 지난 81년 대한적십자사를 중심으로 혈액 사업을 정비하면서 혈액원과 헌혈의 집을 증설하고 종교계 등을 중심으로 단체 헌혈사업을 전개하면서 선진국과 유사한 국민 헌혈률 5%에 도달하게 됐다. 또한 지난 97년에는 혈액관리법을 개정해 매혈을 전면 금지해 순수 헌혈을 기반으로 하는 안정된 공공혈액 관리체계를 짧은 기간에 구축했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면서 부적격 혈액 출고 및 에이즈, 간염 등 수혈감염 발생으로 혈액 사업에 대한 국민의 불신과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정부는 안전한 혈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지난 2004년 민관 합동의 ‘혈액안전관리개선기획단’을 설치하고 혈액안전관리개선 종합대책을 마련, 지속적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먼저 건강한 개인 헌혈자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 찾아가기 편한 시내 중심부에 넓고 쾌적한 새로운 문화공간인 헌혈의 집을 오는 2009년까지 100곳 확충할 계획이다. 지난 2년 사이 16곳 헌혈의 집이 확충된 바 있다. 또한 건강한 개인 헌혈자 확보를 위해 오는 2009년까지 등록 헌혈회원을 50만명까지 확보할 목표로 등록 헌혈제 활성화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2006년 말 현재 약 27만명이 등록 헌혈회원에 참여해 개인 헌혈자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다음으로 에이즈 등 감염 혈액이 수혈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혈액검사 시스템을 개선해 이중 삼중 감시 시스템을 도입하고 지난해에는 에이즈 및 C형 간염에 대한 정밀검사(핵산증폭검사)를 도입, C형 간염 10건, 에이즈 4건의 감염 혈액 수혈을 예방하는 성과가 있었다. 또 내년부터는 혈액검사자동화시스템을 도입하고 혈액검사센터 통합을 추진, 혈액검사의 전문성과 정확성을 한층 더 높여 나갈 계획이다.
또한 에이즈, 간염 등 수혈 부작용 발생시 정확한 조사와 보상을 위해 정부는 지난 2004년부터 모든 헌혈자의 혈액검체를 10년간 보관하는 혈액검체역추적시스템(Look-Back System)을 도입하고 질병관리본부에 혈액안전부서를 신설, 수혈 부작용 조사를 전문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부작용 보상 체계를 정비했다. 혈액 사업에 대한 국가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혈액원 허가제 및 심사평가제를 도입하고 혈액 사업에 대한 예산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년 간 혈액 안전성 강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러나 혈액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요인들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말라리아, 변종 크로이츠펠트-야코프병(인간광우병)과 같은 신종 및 재출현 전염병, 건선 치료제와 같은 약물 등에 의한 위협이 대표 사례다. 정부는 새로운 검사법 도입, 헌혈 유보군 정보 공유 및 문진 강화 등의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말라리아 채혈금지지역 확대 및 문진 강화 등 안전성 강화 조치로 올겨울 혈액수급 상황이 더욱더 어려워져 수혈 환자와 의료기관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정부는 국민이 안전한 혈액을 원하는 시기에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혈액안전관리개선 종합대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면서 혈액관리 조직 혁신을 통해 효율성을 확보해 많은 국민이 고귀한 뜻으로 헌혈해 준 혈액을 안전하게 관리, 누구나 필요할 때 부족함 없이 수혈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헌혈은 우리가 몸으로 할 수 있는 가장 숭고한 ‘사랑실천’으로 많은 국민들이 동참해 주길 당부드린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