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등 건설관련업체,리스크 관리 ‘발등의 불’

      2010.06.09 05:50   수정 : 2010.06.08 22:42기사원문
건설업종 구조조정의 후폭풍을 맞고 있는 레미콘, 건축자재, 페인트, 디지털도어록 업종 등의 전후방 연관업체들이 옥석을 가린 거래를 위해 부심하고 있지만 뾰족한 대안이 없어 전전긍긍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건설사들의 연쇄 부도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면서 협력업체마다 이전보다 강화된 리스크 관리 방안은 물론, 인적 네트워크를 총동원한 정보망을 가동 중이다. 납품대가로 받은 어음이 휴지조각이 될 경우 부도 여파를 고스란히 감당해야 한다는 위기감이 짙게 깔려 있다.

특히, 레미콘 업계는 남양, 금강, 풍성, 성원건설 등 중견 건설사들의 잇단 부도로 받지 못한 금액이 500억∼6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하면서 부도어음 최소화를 위한 물밑 사전조사에 열을 올리고 있다.

건설사에 납품하기 전 주거래은행을 통한 해당 건설사의 신용상태 파악은 기본이고, 미분양물량과 명동사채시장에서의 회사채 동향도 살피고 있다.
건설사를 출입하는 영업직원들은 건설사 동향과 시장정보를 매일 보고해야 할 정도다.

업계 관계자는 "올 들어 영업직, 관리직 할 것 없이 전사적으로 건설사에 대한 시장정보 수집이 한층 강화됐다"며 "중소형 건설사와 거래할 때는 담보설정은 물론 대놓고 현금거래를 요구하는 업체도 있다"고 전했다.

건설후방업종인 디지털도어록과 페인트 업체들도 건설사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긴 마찬가지다.

디지털도어록 기업간거래(B2B) 전문업체인 D사는 지난해 업계에 부도설이 돌 만큼 어려운 한해를 보냈고, 최근에도 납품대금 회수 때문에 속앓이하는 업체가 늘고 있다. D사의 경우 지난해 디지털도어록을 대규모 공급한 건설사가 미분양 물량 적체와 저조한 입주율로 어음만기(보통 6개월 내외) 전 부도가 발생해 직격탄을 맞았다.

페인트 업체들은 건설사들의 매출채권회전율(매출액/매출채권) 등을 2∼3일 간격으로 영업소에 제공해 선별적인 접근을 강조하고 있고, 매일 수금률 목표치를 정해 자금회수 극대화에 주력하고 있다. 매출채권회전율이 낮으면 회수기간이 길어져 그만큼 리스크는 높아지고, 수익은 감소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매출채권회전율이 낮은 건설사에 대한 영업은 꺼리는 분위기다.

바닥재, 유리, 창호 등 건축자재 업체들은 영업사원을 활용해 건설현장에서 자재 납품수급이 원활히 이뤄지는지 수시로 확인하는 것을 시작으로 총판, 대리점에 대한 통제 등을 엄격하게 강화하고 있다.

다만, 협력업체의 제한적인 협상력과 담보 가치하락 등으로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지역 중소형 레미콘사들은 지역 건설사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아 설사 부도위험이 높다는 것을 알아도 울며겨자먹기식으로 납품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아파트 등 부동산을 담보로 설정해도 경매 시 제값을 받기 힘든 데다 채권자가 많아 담보설정에도 한계가 있다.
그렇다고 협력업체 입장에서 원청업체에 담보설정을 확대해달라고 목소리를 높이기 어려운 상황이어서 건설사 납품업체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winwin@fnnews.com 오승범 이병철기자

■사진설명=레미콘, 건축자재업종 등 건설산업 전후방 연관 업체들이 건설업종 구조조정의 후폭풍을 맞고 있다.
수도권에 위치한 한 레미콘 회사 주차장에 레미콘 차량들이 출하를 하지 못한 채 주차돼 있다.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