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물가 안정은 국가지대사
2010.10.07 18:15
수정 : 2010.10.07 18:15기사원문
‘장바구니 물가’로 불리는 생활물가가 이렇게 폭등한 것은 8, 9월 전국을 강타한 폭우로 농수산물 작황이 좋지 못했기 때문이다. 식탁에 오르는 신선식품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다보니 나날이 값이 오르고 결국 생활물가 전반의 값을 끌어올렸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생활물가 조사 대상 품목은 모두 152개인데 이 가운데 농수산식품을 중심으로 116개 품목이 올랐다. 특히 1년 전보다 2배 이상 가격이 뛴 품목만 9개에 달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추 233%, 호박 219%, 무 165%, 시금치 151%, 오이 133% 등이다.
배추 작항이 엉망이 된 올 가을의 ‘김치 대란’은 외신에서도 연일 뉴스면을 장식하고 있다. 중국으로부터의 긴급 배추 수입을 심층 분석한 기사에서부터 배추 3포기를 어렵사리 구입한 아줌마들의 ‘배추 3통의 행복’ 같은 토픽성 뉴스까지 모두 화제를 모으고 있다.
그렇다고 김치 없으면 밥을 못 먹는 한국인들의 식성을 나무랄 일은 못된다. 한국인의 김치 사랑은 김치를 세계적인 식품으로까지 만들지 않았는가. 문제는 배추를 비롯한 신선식품을 안정되게 공급하는 일이다. 기상이변은 해를 거듭할수록 심해진다. 기후 횡포로부터 식탁 안전을 지키는 일이 다른 어느 정책 못지않게 중요하다.
9월 이후에도 생활물가가 크게 내릴 가능성이 적다는 점은 심각하다. 정부는 배추와 같은 가격 급등 품목의 수입 관세를 인하하고 있지만 수급을 맞추기 쉽지 않다. 이럴 때는 각 가정에서도 김장을 연기하거나 분량을 줄여야 한다. 배추가 ‘금추’라면 특별경작에도 힘써야 한다. 2%대를 유지하던 전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앞으로는 3% 내외로 뛰어오를 전망이다. 모든 경제주체가 힘을 모아 물가고를 이겨나가야 한다. 정부와 유통업은 공급 원활로 소비자는 소비절약으로 공동 대응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