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21만원 돌파..골드뱅킹 덩달아 수익 ‘쑥쑥’
2010.12.08 05:00
수정 : 2010.12.07 22:23기사원문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국내 금값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중이다. 7일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7분 현재 국내 금 도매가격(살때)은 3.75g(1돈쭝)에 21만1200원으로, 북한의 연평도 포격 이튿날인 지난달 24일의 최고가(20만9000원)를 뛰어넘었다. 지난 1일 3.75g당 20만7350원을 기록한 후 4∼6일 20만8450원으로 올라섰고 이날 처음으로 21만원선을 넘어선 것. 순금 3.75g의 소매가격(살때)도 약 21만6200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값이 급등하면서 국내 골드뱅킹 상품들도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신한은행의 대표적 골드뱅킹 상품인 ‘골드리슈’의 경우 최근 수익률이 은행 예금금리(3%대)를 크게 웃돌고 있다. 골드리슈는 입금을 하면 그 금액만큼 금을 적립해주는 상품이다. 6일 기준으로 신한은행의 골드리슈 상품의 1개월간 수익률은 3.63% △3개월은 9.69% △6개월은 7.09% △12개월은 21.61%다. 이 같은 높은 수익률에 따라 신한은행의 골드리슈 적립좌수도 올해 1월 말 7만5666좌에서 지난달 15일(골드뱅킹 상품 일시 판매중단 직전)에는 9만4275좌로 늘어나는 등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골드뱅킹은 자산운용의 ‘안전벨트’로서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라며 “총 자산의 10∼20%를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다만 골드뱅킹상품은 국제 금 가격이 오르더라도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손해를 볼 수 있는 구조여서 거액의 투자보다는 분산투자와 적립식 투자가 적합하다는 조언이다.
■내년 안전자산 선호 이어질 듯
골드만삭스는 ‘2011년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금 선물가격이 현재의 온스당 1410달러에서 내년 말에 1690달러까지 오른뒤 2012년에는 1750달러대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저금리 정책으로 금과 같은 상품시장이 랠리를 이어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미국 경제가 내년에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겠지만 투자자들이 회의론적인 입장을 유지하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여전할 것이란 것. 2012년 이후 미국 경제가 완연한 회복기에 접어들어 금리인상이 이뤄져야 비로소 상승세가 멈출수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금과 은값 급등엔 이같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외에 중국의 사재기도 한 몫하고 있다. 도이체방크 분석에 따르면 중국은 올해 1∼10월 209톤(t) 이상의 금을 수입했는데 이는 지난해 수입 추정치인 45톤의 4.6배에 이른다. 또 같은기간 은 수입량도 2961톤으로 지난해 동기(615톤)대비 4.8배 늘어났다. 중국은 금생산에도 박차를 가해 지난 2007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제치고 최대 금 생산국이 됐다.
중국이 이처럼 금과 은을 사들이는 이유는 이들 실물자산이 인플레이션 헤지(위험회피) 수단으로 최고이기 때문. 특히 미국의 3차 양적완화 조치 가능성과 유럽 재정위기 확산에 대한 우려로 달러화와 유로화 가치가 떨어질 가능성이 큰 점도 원인이다. 이때문에 중국의 금, 은 사재기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 유가도 유럽과 북미지역의 기습한파가 겹치면서 급등했다. 이날 브렌트유가 배럴당 91.34달러로 2008년 10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한데 이어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1월 인도분 가격이 89.38달러로 26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골드만삭스는 국제 원유 선물 가격이 내년에 배럴당 105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오문석 LG경제연구원 실장은 “국제 유가는 투기적 요인과 유동성의 영향을 받겠지만 기본적으로 수요, 공급의 원칙이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내년에 세계경제 성장세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큰 폭 급등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hjkim@fnnews.com김홍재 홍창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