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워크,문화로 정착돼야/김태현 한국여성정책연구원장

      2011.05.17 17:18   수정 : 2014.11.06 18:36기사원문

스마트워크는 영상회의 등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시간·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유연하게 일하는 근무 형태다.

우리나라도 행정안전부가 지난 1월에 '2011년도 스마트워크 활성화 추진계획'을 발표하면서 2015년까지 전국에 총 50개의 공공 스마트워크센터를 세우겠다고 밝힌 바 있다.

나아가 올 하반기부터 스마트워크를 도입하는 여성가족부 등 10개 중앙부처의 준비 작업도 빨라지고 있다. 고용노동부도 '스마트워크'를 확산시키기 위한 '노동관계법령 가이드라인'을 발표해 스마트워크 확산을 위한 정부정책 기반도 마련됐다.

기업의 경우도 삼성전자, KT, 한국IBM 등이 스마트워크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앞으로 많은 기업이 동참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워크는 출산·육아 등으로 경력 단절을 경험하는 여성들의 부담을 덜고 맞벌이 부부의 근무 환경을 개선해 저출산 문제 해소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이다.

우리사회의 장시간 근로시간과 일 중심적인 문화는 일과 가족생활의 조화를 어렵게 하는 중요한 장애물이다. 여성의 경제활동이 증가하면서 우리 사회도 맞벌이부부가 새로운 가족모델로 자리 잡아 가고 있으나 장시간 노동시간이라는 근무여건이 개선되지 않고 있어 적절한 가족 시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나라의 평균 근무시간은 선진국인 주요 7개국(G7)보다 훨씬 많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얼마 전에 12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맞벌이 부모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맞벌이부부 3분의 2가 '일과 가족생활이 불균형적'이라고 답했다.

또 이들 중 85%가 '가족생활보다 일에 더 치중돼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우리사회는 일과 가족생활의 조화로운 양립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제도와 환경마련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는 의미다.

이러한 상황은 비단 우리만이 아닌 선진국가들도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은 우리보다 훨씬 앞서 1970년대부터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를 지원하는 제도와 프로그램을 기업 경쟁력 차원에서 실시해왔다.

미국의 경우 탄력근무제의 도입 비율이 1996년 31%에서 2003년 71%로 2배 이상 증가했다.

선진국 기업들이 일가족 양립정책을 적극 도입하는 이유는 근로자 사기 향상, 우수 인재 확보 등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 독일의 헤르티에 재단에 따르면 일가족 양립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생산성이 30%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기업들도 기업의 중장기적 경영의 핵심 이슈로 일가족 양립 제도가 적극적으로 검토돼야 하고 특히 기업은 일가족 양립 지원을 단기적인 비용 측면에서가 아니라 중장기적인 기업의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적극 검토해야 할 시점이다.

국제노동기구(ILO)에서는 '양질의 노동시간'이란 개념을 통해 건강한 노동시간, 가족친화적인 노동시간, 성평등 향상, 기업의 생산성 증가, 노동시간에 대한 근로자의 선택과 영향력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적 논의에 발맞춰 우리사회에서도 노동시장에 증가하고 있는 일하는 부모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그들의 일과 가족생활의 양립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스마트워크의 본격적 도입은 일과 가족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동분서주해야 하는 맞벌이부부들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한 일이다.

물론 스마트워크의 확산을 위해서는 우선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시스템 구축과 환경이 구축돼야 한다.

제도를 도입·시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눈치 보지 않고 스마트워킹을 할 수 있도록 기업의 체계적인 스마트워크 관리와 장려, 가족친화적인 조직문화 조성, 그리고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 노력이 꾸준히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우리 사회 전반의 스마트워크 촉진을 통해 일과 가정의 조화를 도모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 향상, 그리고 국가 경쟁력 제고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