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맑은 아파트 인증제 검토..,확산 박차
2013.11.21 16:42
수정 : 2013.11.21 16:42기사원문
"30년 전 지어진 신동아 아파트는 오래된 설비로 고비용이 발생했지만 옥상 물탱크를 없애 수질이 개선된데다 공용부문 외등을 삼파장으로 교체하는 등 노력을 통해 연간 6000만원 이상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됐습니다" ('맑은 아파트 만들기' 3차 실태조사 단지인 서울 용산구 신동아 아파트 관계자)
"공동주택 통합정보마당에 아파트 관리 정보를 공유해 옆 단지와 관리비 등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됐습니다. 현재 전체 아파트의 55%가 이곳에 정보를 올려놨는데 100%가 되도록 독려하겠습니다." (박원순 서울시장)
서울시가 21일 '맑은 아파트 만들기' 사업의 모범사례를 공개했다. 관리비 거품을 빼고 주민간 갈등을 줄이는 사업으로, 관리비 절감 및 정보공개를 통한 관리 투명화, 공동체 활성화 등이 사업의 골자.
박 시장은 이날 모범 단지 입주자대표와 주민 등을 만나 실태조사 상황을 점검하고 이같은 내용을 공유, 시 전체에 확산시키겠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용산구 서빙고동 신동아아파트를 시작으로 송파구 신천동 잠실파크리오 아파트, 중랑구 신내동 신내데시앙, 도봉구 창동 삼성아파트와 성북구 종암2차아이파크를 방문했다.
■맑은 아파트 만들기, 관리비와 주민 갈등 줄여
3차 실태조사가 진행중인 신동아 아파트의 전.현직 주민회장들은 이번 조사를 통해 연간 6000만원 이상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됐다며 "그동안 동대표 선거로 주민간 갈등이 다소 있었으나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통합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박 시장은 "층간소음으로 살인까지 벌어지는 등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데 주민들이 얼굴을 맞대고 친하게 된 상황이면 충분히 웃어넘길 수 있는 일"이라며 "좋은 모델을 만들어 달라"고 격려했다.
송파구 잠실파크리오아파트는 6864가구의 초대형 단지지만 '놀이터 공유도서관' 소통게시판 등을 통해 이웃간 정이 넘치는 아파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아파트는 입주자대표회의를 공개 진행하며 케이블TV로 생중계해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다. 건물 부분보수나 도색 등 단순 보수공사를 자체 관리사무소내 전문인력을 활용, 직접 시행함으로써 약 8824만9000원을 절감해 주민복지에 활용하고 있다.
분양아파트와(27%)과 임대아파트(73%) 혼합단지인 신내데시앙 아파트는 양측 통합 운영을 통해 주민갈등 없이 관리되고 있는 모범단지로 꼽힌다. 주민들은 대화와 소통으로 공통 관리규약을 제정하고 공동주택대표회의의 회장(분양), 부회장(임대)을 함께 선출했다.
도봉구 창동삼성아파트는 전기요금을 줄인 모범 사례다. 공용전기 사용량을 분석해 기존의 '종합계약'에서 '단일계약'으로 변경, 1년간 총 4562만원의 전기요금을 절약했다. 계약 방식 변경만으로 가구당 연 2만7000원을 절약한 셈이다. 드라이버나 톱 등 생활 공구 등을 관리사무소에서 빌려주는 공구도서관도 운영중이다.
성북구 종암2차아이파크는 주민들로 구성된 친환경소비자협동조합을 운영해 공동체활성화와 관리비절감, 일자리창출 효과까지 거두고 있다. 현재 조합원은 200여명으로 확대됐으며 친환경 영농체험, 쌀·소금·채소·절임배추 등 안전한 먹을거리를 저렴한 가격에 구매하는 공동구매 및 직거래 장터 등 활동을 함께 하고 있다.
■오피스텔 등도 관리방안 마련
서울시는 행정 사각지대로 남아있는 공동주택 임의관리단지 및 집합건물에 대해 국토교통부 등과 적극적인 협의를 통해 관련법령을 개정하는 등 관리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건물 운영에 따른 수익금을 주민들에게 돌려주지 않고 개인적으로 부당하게 취득하는 등 민원이 제기되지만 공동주택 의무관리단지(2138단지)와 달리 임의관리단지(1955단지), 오피스텔 등 집합건축물(2033동)은 법적으로 행정청의 관리감독 권한이 없기 때문.
박 시장은 "개입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은 없지만 사각지대에 놓인 4000여가구를 방치할 수만은 없다"며 "법령 개정 뿐 아니라 공동의 마당을 만들어 임의 개입 등을 통해 인위적으로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변호사 등의 채용을 늘리고 내년 예산에 10억원의 실태조사 비용을 반영했다"며 "아직 인증제도는 없지만 비리나 공동체 프로그램 등 여러 기준을 반영한 실사를 통해 인증제도 운영을 검토해보겠다"고 덧붙였다. nvcess@fnnews.com 이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