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DJP 연합’ ‘盧·鄭 단일화’ 대권 창출.. 선거용 연대 후유증도

      2014.03.02 17:07   수정 : 2014.10.29 08:51기사원문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2017년 정권교체 실현을 위한 '제3지대 신당 창당'을 선언한 가운데 역대 단일화 또는 합당의 성공 사례들이 재조명 받고 있다. 민주당 최재천 전략기획본부장이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서거 전 범진보진영에 한 '10에 7을 내줄 자세로 야권연대에 임해야 한다'는 말씀을 소중하게 받아들인다"고 밝혔듯이 연대 및 단일화, 합당은 정권교체를 위해 필연적인 요소가 돼왔다.

앞서 지난 13일 김한길 대표는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야권 재구성론'을 제기했다. '승리하는 민주당'을 만들겠다고 선언한 만큼 야권 재구성을 통한 연대가 승리의 필승카드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대선 국면에서 단일화로 재미를 본 사례는 1997년 제15대 김대중-김종필 후보 간 단일화와 2002년 제16대 노무현-정몽준 단일화다. 이전에도 대선을 앞두고 야당후보 간 단일화 협상이 꾸준히 진행됐으나 실제 성사된 경우는 단 두 차례뿐이다.

김대중-김종필의 이른바 'DJP연합'은 15대 총선 결과 부진에 따른 것이다. 국민회의 김대중 후보가 단일후보로 나서면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39만표 차이로 꺾고 정권교체에 성공했다.
이 연합은 이듬해인 1998년 지방선거에까지 이어져 새정치국민회의가 서울시장(고건).경기도지사(임창열)를, 자민련이 인천시장(최기선)을 차지하는 데 기여했다.

노무현-정몽준 단일화도 성공 사례로 꼽힌다.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국민통합21의 정몽준 후보를 누르고 승리하면서 단일후보로 나섰다. 대통령 선거 전날 정몽준 후보가 지지를 철회했음에도 노무현 후보는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를 제치고 16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노무현 후보가 여권후보였다는 점에서 야권 단일화로 보긴 어렵지만 연대를 통해 승리한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된다.

대선이 아닌 지방선거에서도 야권연대가 위력을 발휘한 경우가 있다. MB정부에서 치러진 2010년 지방선거가 그 예다.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등이 모인 '야권연대'로 인해 당시 한나라당은 고전 끝에 서울을 가져가며 그나마 체면을 세웠다.

2011년 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도 안철수 당시 서울대 교수가 박원순 변호사를 지지하며 불출마 선언을 하고, 박원순 변호사가 민주당, 민노당 후보와 경선 끝에 범야권 후보로 선출되면서 승리 깃발을 거머쥐었다.

선거 때 일등공신이었던 연대 카드는 2012년 총선과 대선을 거치며 힘을 잃었다. 선거 자체만을 목표로 한 일회성 연대라는 인식이 높아지면서 집권당도 '야권연대는 밀실야합에 불과하다'는 논리를 펴기 시작한 것이다.

대선 단일화의 시초격인 DJP연합은 '선거용 연대'의 원조다. 대통령 후보는 김대중 총재로, 집권 후 공동정부의 국무총리는 김종필 총재로 하는 등 내각제를 고리로 했던 DJP연합은 집권 후 얼마 가지 못해 비판 여론에 몸살을 앓았다. 이보다 7년 전인 김영삼 전 대통령의 3당 합당도 야합이란 질타를 피하지 못했다.

이 같은 시류는 선거 패배로 이어졌다.
지난 2012년 치러진 4·11 총선의 경우 민주당과 통합진보당이 또다시 연대해 정권심판론을 전면에 내세웠지만 새누리당의 단독 과반 승리로 마무리됐다. 야권연대가 힘을 잃은 것이다.
수도권에서 절반 이상을 얻은 것이 위안이라면 위안이었다.

ys8584@fnnews.com 김영선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