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지 ‘빅3’ 슬러지 이젠 땅에 묻는다
제지업계가 '폐수오니 감량 작전'에 돌입했다. 정부의 '해양투기 제로화 추진계획'에 발맞춰 폐수처리오니(제지 슬러지) 육상매립 전환에 나선 것. 이 가운데 업계 일각에서는 제지 슬러지 재활용 및 처리기술 개발을 위한 관련 법 정비가 병행돼야 당국의 정책이 제대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18일 환경부 및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제지 '빅3'(한솔제지.무림P&P.한국제지)는 폐수오니 감량을 위한 탈수설비 및 건조시스템 도입을 추진 중이다. 타 업종과 달리 제지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수오니는 함수율(전체 오니 중 물의 중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물기를 최대한 제거한 뒤 육상에 매립하거나 소각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다.
환경부 폐자원관리과 관계자는 "유기성 오니 매립을 위해서는 수분함량이 75% 이하여야 한다"며 "최근 각 제지사업장을 둘러본 결과 시설 개선만으로도 기존 80%에서 50% 이하까지 함수율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특히 이 관계자는 무림P&P 울산공장을 모범사례로 꼽았다. 그는 "올해 한시적으로 6만1749㎥에 달하는 폐수오니 해양배출을 신청한 무림은 다양한 자구책을 마련 중이었다"며 "내년 말부터는 육상매립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국내 유일의 펄프.제지 일관화공장인 무림P&P는 다른 제지사와 달리 펄프와 제지를 함께 생산하고 있어 폐수오니 양도 그만큼 많다.
이에 무림P&P는 현재 설치 중인 신규 탈수설비를 비롯해 내년까지 건조설비를 완비, 저감된 슬러지를 육상매립으로 전면 전환할 예정이다. 또한 공정 개선을 통해 펄프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양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모색 중이다.
무림P&P 관계자는 "고속탈수 및 압착방식을 통해 슬러지에 포함된 함수량을 현행 대비 15% 이상 개선할 것"이라며 "소각설비 허가 여부에 따라 소각을 통해 반출량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한솔제지(장항공장)와 한국제지(온산공장) 등도 폐수오니 탈수 후 육상에 매립하는 방안이 유력한 가운데 추가 비용부담이 제지사들의 난제로 떠올랐다.
실제 폐수오니 해양배출의 위탁 단가가 ㎥당 3만~6만원인 것에 반해 소각은 15만원, 육상매립 등은 6만~12만원으로 최고 5배 이상 비용부담이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게다가 폐수오니는 발열량이 낮기 때문에 일반 소각시설에서는 위탁처리가 어렵고, 공장 내 자체 소각시설을 설치하려 해도 지역주민의 민원 제기 등으로 인허가를 받는 게 쉽지 않다. 이에 업계 일각에서는 폐수오니의 연료화를 통한 에너지 재활용이 활성화되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 제지업계 관계자는 "가연성폐기물인 폐수오니는 다른 물질과 혼합해 고형 연료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서 "폐수오니도 고형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 법을 정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