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상의 전환' 공격적 투자로 불황리스크 줄인다

      2014.12.31 17:53   수정 : 2014.12.31 20:24기사원문
16개 기업, 연구개발·설비투자에 28兆 투입
삼성전자·SK하이닉스 국내에 대규모 반도체 생산라인 조성
현대차, 한전부지 개발 본격화 사옥·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립


양띠 해를 맞아 재계가 일제히 기지개를 켤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불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차세대 먹거리를 위한 투자가 필수적이라는 공감대가 팽배해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엔 30대 그룹 계열사들이 설비투자를 줄였지만 올해는 각종 설비투자가 이어진다.

지난해 12월 3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LG, SK, 현대자동차 등 주요 대기업 그룹들이 본격적인 투자금액을 집행, 삼성전자와 현대차, LG, SK 등의 그룹사를 포함한 16개 기업이 올해까지 28조원을 쏟아부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부터 계획된 투자를 집행하는 한편 해외 공장 추진, 연구개발비 증가 등 연구개발(R&D)과 시설투자까지 다방면의 투자가 예정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기업들은 리스크 관리를 위해 현금을 쌓아두려는 동향을 보이지만 정부가 적극적으로 신규 투자를 유도하는 방안을 고심 중이다.

관련기사 ☞ 기획연재 ‘대한민국 골든타임’




■삼성, 현대차, SK 등 과감한 투자 행진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부터 경기 평택 고덕국제화계획지구 산업단지에 15조6000억원을 순차적으로 투입 중이다. 반도체 라인 조성이 목적이다.
삼성전자는 평택산업단지 중 79만㎡를 활용해 반도체 1개 라인을 우선 짓는다. 내년 상반기에 착공한 후 오는 2017년 하반기까지 완공 후 상업가동을 진행한다는 전략이다. 공장 완공시점인 2017년까지 투입되는 투자 규모는 총 15조6000억원으로 중국 내 최대규모의 투자였던 시안 반도체공장 투자액인 70억달러(약 7조4200억원)의 2배 이상 많은 금액이다. 이후 추가로 시스템반도체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양산할 경우 2~3단계 투자가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의 반도체라인 조성 투자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지도 한몫했다. 정부는 핵심 전력공급 인프라를 오는 2016년 말까지 조기에 공급토록 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다. 각종 세제지원과 함께 반도체 라인에 필수적인 용수 공급도 안정적으로 이뤄지도록 하는 지원책을 준비하고 있다.

현대차는 올해를 사실상 대규모 장기투자의 원년으로 삼게 됐다. 지난해 매입한 서울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에 본사를 다시 세우고 호텔 등 각종 숙박시설과 글로벌 비즈니스센터 등 다양한 시설을 확충하게 됐다. 지난해 말 현대차가 발표한 친환경차 강화 전력에도 막대한 자금을 쏟아 부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이미 지난달부터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건립 전담팀을 꾸며 토지지질조사를 실시하는 등 사실상 개발에 착수했다. 올해 9월 한전부지 소유권을 공식적으로 넘겨받기 전에 GBC 건립에 따른 인허가 등 행정절차를 마무리 짓고 공사를 조기 착수하기 위한 뜻으로 해석된다.

현대차그룹 GBC건립TF는 이번 지질조사를 바탕으로 서울시에 GBC 건립 사업제안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이 TF는 앞으로 사업 인허가, 설계 및 시공관리, 사업방향성 설정 등의 실무를 맡게 된다. 현대차는 2020년께 한전 부지에 통합사업을 건립, 30여개 계열사를 한데 모으는 한편 관제탑 역할을 할 초고층 글로벌비즈니스센터를 지을 예정이다. 독일 볼프스부르크에 있는 폭스바겐 본사 '아우토 슈타트'를 벤치마킹할 것으로 알려졌다. 초고층 신사옥과 함께 자동차 테마파크와 최고급 호텔, 백화점 등이 부지 내에 함께 조성될 것으로 알려졌다.

SK그룹 계열사 중에선 SK하이닉스가 가장 적극 투자에 나서고 있다. 경기 이천에 반도체 생산라인을 추가하기 위해 올해까지 1조8000억원을 집행할 예정이다. SK하이닉스는 SK그룹 계열사 중 지난해 가장 실적이 좋았던 계열사로 꼽힌다. 정유업체 중에선 S-OIL이 울산공장 시설을 투자하는 데 2017년까지 200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정유부문뿐 아니라 화학부문 투자를 통해 실적을 업그레이드할 것으로 보인다.

■"선행투자해 경쟁력 제고해야"

올해가 불황임에도 기업들 투자는 대부분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대비전략이라는 것이 업계의 해석이다. 지난해 전국경제인연합회가 600개 기업을 대상으로 투자확대 이유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한 450개 기업 중 24.4%가 "경쟁력 제고 차원"이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23.5%는 신제품 생산 및 개술개발 강화를 이유로 꼽았다. 신성장 동력을 위해 신규사업에 진출할 목적으로 꼽은 기업도 22.5%에 달했다.

기업투자를 활성화하려면 감세 등의 세제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투자에 필요한 기업환경에 대해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감세 등 세제지원을 확대하다"고 답한 기업이 24.6%를, "자금조달 등 금융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답한 기업이 22.2%를, "투자 관련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고 답한 기업도 16.4%를 차지했다.

한편, 기업 투자를 위해 정부도 발벗고 나선 상황이다. 우선 개별기업들이 부담하기 힘든 대형 프로젝트 등을 지원해 투자를 활성화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신성장 사업이나 인프라 구축 등 투자 리스크가 큰 사안은 정부가 기업과 공동투자를 하는 방안, 장기회사채 인수나 전환사채, 상환우선주 발행 등 다양한 방식의 지원대책을 구상 중이다. 기존엔 대출 중심의 투자지원책에 머물렀다면 정부가 사실상 기업들과 협력사 역할을 하게 되는 셈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규제비용 총량제를 실시, 새로운 규제를 만들거나 강화할 경우 비용을 고려해 유사 규제를 폐지하거나 완화토록 할 방침이다.

ksh@fnnews.com 김성환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