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차세대전투기에 국산 타이타늄 소재 쓴다'
2015.01.20 11:00
수정 : 2015.01.20 11:00기사원문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오후 서울 역삼동 르네상스서울호텔에서 '타이타늄 산업발전협의회'를 발족식을 열고 이런 내용의 '타이타늄 산업육성전략'과 '타이타늄 징검다리 프로젝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타이타늄은 과거 냉전시대에 군사·우주 목적으로 미국, 소련 등 군사강국 주도로 개발됐다. 현재는 강도·내식성 등이 우수해 국방, 항공, 의료, 플랜트 등 산업 전반에 널리 쓰이는 기반소재다.
산업부는 "타이타늄은 부가가치 증가율이 철강의 42배, 알루미늄의 11배에 달하고 세계시장은 2012년 250조원에서 2025년 600조원으로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하지만 우리는 관련기술이 없어 미국이나 일본의 무리한 가격인상에도 구입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이에 따라 '타이타늄 산업육성전략'을 통해 2021년까지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에 이어 세계 5대 타이타늄 산업 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방침이다.
또 고순도광에 비해 매장량이 20배, 가격은 4분의 1 수준인 저순도광으로부터 원천소재를 제조하는 새로운 공정을 개발, 원천소재 제조비용을 외국에 비해 50% 이상 절감한다는 청사진도 세웠다.
산업부는 이를 위해 앞으로 7년간 정부 603억원, 민간 215억원 등 818억원을 투입한다. 올해 첫 정부 투자 금액은 95억원으로 원천소재 개발 45억원, 플랜트·발전·의료용 소재·부품 국산화 40억원, 항공·의료 시험인증 인프라 구축 10억원 등에 쓰인다.
산업부는 '타이타늄 징검다리 프로젝트'를 통해선 산·학·연·관 간 긴밀한 협력으로 시장창출이 쉬운 분야부터 수요를 창출해 나가기로 했다.
우선 충분한 국내 수요를 바탕으로 해수담수화설비 열교환기 부품(투자금 2400억원)과 발전소 증기터빈 블레이드(520억원), 고부가가치 의료용 임플란트 합금(250억원) 등을 잇따라 국산화로 개발, 연 3170억원짜리 시장을 조기에 만든다는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론 관계부처 간 공동 기술개발, 실증사업을 활용한 운용실적 확보 등 고부가가치 국방·항공 시장에 진출한다는 복안이다.
타이타늄 산업발전협의회는 여기서 타이타늄 소재산업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역할을 맡는다. 협의회는 산업부, 포스코, 두산중공업, 중소 뿌리기업 등이 공동 참여해 기술개발과 시장창출, 제조개선에 대해 머리를 맞댄다.
박청원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우리는 철강·화학 등 소재산업과 파이넥스(Finex)·폴리실리콘 등 유사한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한 경험을 가진 기술 강국"이라며 "글로벌 수요 둔화와 중국발 공급 과잉으로 철강 산업의 어려운 현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선 타이타늄 등 신소재 개발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