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초 논쟁
2015.11.22 17:08
수정 : 2015.11.22 17:08기사원문
윤초는 세계적으로 크나큰 혼란과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정밀한 시간 측정이 필수인 정보통신이나 항공우주, 금융 분야는 윤초 시행 때마다 비상이 걸린다. 시간 불일치로 인한 시스템 오작동을 막기 위해 엄청난 인력과 비용을 투입해왔다. 2012년 7월 1일 윤초 시행 때 호주 콴타스항공은 수화물과 항공권 예약 시스템이 중단돼 항공기 수백편이 지연됐다. 포스퀘어와 옐프, 링크트인, 스텀블어폰 등 일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역시 접속중단 사고를 겪었다. 이런 이유로 인해 2000년대 중반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윤초 폐지론이 제기되고 있다.
폐지론자들은 지난 40여년간 불과 26초 늘어났을 뿐이니 윤초 조정을 하지 않고 내버려둬도 별문제 없다는 입장이다. 한국을 비롯해 호주, 일본, 캐나다, 프랑스 등이 이에 동조하고 있다. 반대로 러시아.영국.중동 등은 윤초 유지론을 주장하고 있다. 특히 러시아는 위성항법시스템(GLONASS)이 미국(GPS)과 달리 윤초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윤초를 폐지할 경우 위성항법시장에서 밀려날 것을 우려하고 있다. 2012년 유엔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윤초 폐지에 대해 논의했으나 합의에 실패했다.
지난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세계전파통신회의(WRC)에서도 윤초 폐지 문제가 다뤄졌으나 또다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참가 193개국은 윤초 문제에 대해 ITU를 중심으로 공동연구를 한 뒤 2023년 WRC에서 폐지 여부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WRC는 회원국의 만장일치로 의사결정을 한다.
윤초 문제는 각국의 이해가 첨예하게 얽혀 쉽사리 결론이 나기 어려울 듯하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정보기술(IT)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시스템 혼란의 위험, 즉 '윤초 리스크'는 갈수록 커질 것이란 점이다.
ljhoon@fnnews.com 이재훈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