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전문은행 3사 3색.. 'K뱅크' vs 'I' vs '카카오'
2015.11.24 16:03
수정 : 2015.11.24 16:03기사원문
24일 금융권 및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KT 주도의 K뱅크컨소시엄, 인터파크 주도의 I 컨소시엄, 카카오 컨소시엄 등 3개 컨소시엄은 오는 27~28일 금융위원회 심사진들에게 사업계획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각 컨소시엄의 IT 강점과 핀테크 서비스의 우월성을 집중 강조할 계획이다.
3개 컨소시엄은 모두 기존 은행들에서는 찾기 어려웠던 4.9%~15.5% 사이의 '중금리' 대출시장을 공략한다. 주 타깃은 기존 은행의 대출서비스를 받을 수 없어 저축은행이나 대부업을 이용해야 했던 이른바 '금융 소외 계층'으로 불리는 약 2070만의 이용자들이다.
이 때문에 3개 컨소시엄의 심사결과는 IT적 우수성과 이를 금융서비스로 융합해낼 수 있는 능력에서 판가름이 날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도 심사 중 방점을 두는 분야는 '혁신성'이다. 때문에 각 컨소시엄들도 자신들만이 지닌 강점을 살려 차별화 전략 수립에 한창이다.
■K뱅크컨소시엄 "인프라·보안·핀테크는 우리가 우위"
KT가 주도하는 K컨소시엄은 경쟁회사들에 비해 △IT인프라 △보안 △핀테크 경험 등에서 우위에 있다고 자부하고 있다.
KT관계자는 "K뱅크에서 코어뱅킹시스템을 담당하는 뱅크웨어글로벌은 중국 알리바바 마이뱅크의 코어시스템을 구축한바 있고 중국 3대 은행인 공상은행, 건설은행, 농업은행 코어뱅킹 시스템을 설계한 경력이 있다"고 설명했다.
보안 영역도 K컨소시엄이 강점으로 내세우는 분야다. K뱅크컨소시엄 내에는 업계 시장점유율 1위인 인포바인(휴대폰 보안/인증)와 시중 은행, 증권사 등에 신분증 진위 확인 솔루션을 공급 중인 모바일리더(비대면 채널 보안 솔루션)업체가 포함돼 있다.
■ I컨소시엄 "방대한 빅데이터로 만족스런 맞춤형 서비스"
인터파크, SK텔레콤 등이 주도하고 있는 I컨소시엄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고객 분석이 가능한 점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명확한 빅데이터 분석력을 기반으로 고액자산가가 누리던 금융자문 혜택을 서민들에게 제공하겠단 방침이다.
SK텔레콤 측은 "I컨소시엄 참여사의 고객수를 산술적으로 합산하면 2억명이고 사업자수는 150만개에 이르는데, 이를 활용해 은행, 증권 등 기존 금융 데이터는 물론 온·오프라인 소비 정보와 통신 플랫폼 이용 기록, 온라인·모바일 게임 이용 내역, 결제 정보 등의 방대한 고객 데이터를 정교히 분석해 생활 밀착형 금융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며 "이 같은 정보를 활용해 또한 모바일 개인 금융비서, 자동화 PB(프라이빗 뱅킹)서비스, 복합금융몰을 운영해 개별 맞춤형 자산축적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상거래와 통신 그리고 증권상품을 동시에 서비스하는 I-뱅크 사업 모델을 구축했다.
■카카오 "일상 속 SNS, 금융서비스와 결합"
카카오 컨소시엄은 자사의 최대 강점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카카오톡의 특성을 인터넷 전문은행 사업에 최대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에서 매일 사용하는 카카오톡을 통해 다양한 은행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지금도 간단한 송금과 모바일 결제를 할 수 있지만, 서비스의 범위를 보다 확장하겠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카카오톡을 통해 전달되는 결혼, 부고 메시지 확인 후 은행 계좌번호 입력 없이 바로 송금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 카카오톡 대화창 안에서 기존 외환수수료 대비 파격적인 수수료로 외환 송금, 환전을 가능하도록 하며 해외 여행시 카카오톡으로 환전 후 공항, 또는 카카오뱅크의 전국적 네트워크(KB국민은행, 우체국)에서 간편하게 수령토록 할 계획이다.
한편 3개 컨소시엄이 인터넷전문은행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지만, 인터넷전문은행이 설립된다 하더라도 책임경영이 이뤄질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도 높은 실정이다. 은행법상 ICT기업의 최대 지분율은 4%이며 금융당국은 은행의 최대 지분도 10%로 제한돼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서는 인터넷전문은행 설립단계 뿐 아니라, 실질적인 핀테크 경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pja@fnnews.com 박지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