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대출업계, 자체 투자자보호책 마련 나선다....불법업체 난립속 자정노력
2015.12.01 15:58
수정 : 2015.12.01 15:58기사원문
이와 관련 P2P금융 플랫폼 스타트업(창업초기기업)들은 관련 협회를 결성하고 P2P대출 사기·부도·횡령 문제 등에 대한 대비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자칫 막 싹을 틔우려는 핀테크 산업이 일부 불법업체들 때문에 고사될 수 있다는 위기감에서 스스로 자정노력을 벌이는 것이다.
|
■P2P협회 출범…안전한 금융플랫폼 구축나서
1일 핀테크 업계에 따르면 8퍼센트, 렌딧, 펀다, 어니스트펀드(비모), 빌리, 테라펀딩, 피플펀드 총 7개 스타트업은 최근 '한국P2P금융플랫폼협회'를 출범, 건전한 P2P 생태계 조성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 크라우드펀딩과 거리가 먼 불법 자금 모집이 기승을 부리고 있기 때문이다. P2P협회장을 맡고 있는 이효진 8퍼센트 대표는 "현재로선 별도의 보호장치가 없어 소비자들의 각별한 유의와 분산투자가 최선"이라면서도 "안전한 금융플랫폼을 갖춘 회원사들을 중심으로 건전한 여신문화 만들기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우선 P2P협회는 한 사람이 여러 P2P업체에서 동시에 대출을 받지 않도록 회원사 간 대출 내역을 공유할 방침이다. 또한 회원사 중 특정업체가 문을 닫았을 경우, 제3의 관리대리인이 채권을 이양받아 만기 시점까지 관리하도록 해 투자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이 대표는 "시장 초기인만큼 질적 성장도 매우 중요하다"며 "서로 잠재적 경쟁자이기도 하지만 일부 불법업체로 인해 업계 전체가 타격을 받을 수 있는 만큼 공동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리고 강조했다.
■신용평가사와 제휴, 분산투자 유도 등 자구책
각 회원사들도 자체 프로그램이나 신용평가사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투자자 리스크 완화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8퍼센트는 장기연체 등 채무불이행에 대비해 '안심펀드'를 운영 중이다. 부실채권이 발생했을 경우, 투자자들의 원금을 최대 50%까지 보전해주고 있는 것. 또한 한 투자자가 투자할 수 있는 금액을 채권 당 일정 기준에 맞춰 제한하고 있다.
렌딧은 나이스평가정보(NICE)의 '신청사기방지시스템(FRIS: Fraud Risk Identification System)'을 도입했다. FRIS는 대출 신청자 심사시 금융사로부터 직접 수집한 허위 정보와 참조 정보 등을 대조해 위조서류나 사기성 신청 징후를 사전에 발견해주는 프로그램이다.
김성준 렌딧 대표는 "최근 P2P 금융플랫폼을 통한 대출과 투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투자자 보호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며 "NICE가 제공하는 FRIS를 통해 투자자 보호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기술적으로 분산투자를 유도하기도 한다. 렌딧의 '포트폴리오 투자'는 일정기간 동안 집행된 대출건을 모아서 대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뒤, 투자금이 입금되면 각 대출 채권의 일정 부분을 매입해 자동으로 분산투자가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
'어니스트펀드'를 서비스하고 있는 '비모'도 투자자 성향에 따라 다양하게 투자할 수 있는 '자동분산투자시스템'을 도입했다.
한 핀테크 업체 관계자는 "최근 유사수신 투자주의보가 내려졌지만 금융당국도 아직은 지켜보고 있는 수준"이라며 "각종 가이드라인이 마련되기 전에 업계 스스로 자구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금리 대출시장을 건전하게 키우는 길"이라고 설명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