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을 건 '金' 뿐? 보유량 늘리는 세계중앙은행..한은만 복지부동

      2016.01.24 15:15   수정 : 2016.01.24 15:15기사원문
국제 유가 급락과 중국 경기둔화로 인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하락하고 신흥국 금융시장에서의 자금 유출이 가속화되면서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특히 미국 달러화 강세로 미국 내 제조업의 경쟁력 약화가 우려되면서 전통적인 안전자산인 '금(金)'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들도 속속 금 보유량을 늘리고 있다. 이에 반해 한국은행의 금 보유량은 외환보유액의 1.3%에 그쳐 금 보유량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24일 세계 금 위원회(WGC)가 최근 발표한 '세계 공식 금 보유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한국의 금 보유량(중앙은행 기준)은 104.4t으로 그리스·국제결제은행(BIS)에 이어 세계 34(국제기구 포함 순위)다.
이는 지난해 말 현재 외환보유액(3679억 달러)의 1.3%(장부가 기준) 수준이다.

1위는 8133.5t의 금을 쌓아놓고 있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로, 금 보유량이 2위인 독일(3381.0t)보다 2.4배 많았다. 1971년 금 본위제가 폐지되기 전까지 세계 각국은 무역 흑자가 나면 상대국에 금을 받았는데, 1차대전 이후 미국으로 유입된 막대한 양의 금이 아직 연준에 보관돼 있는 것이다.

3위는 국제통화기금(IMF·2814.0t)였으며, 이탈리아(2451.8t), 프랑스(2435.5t), 중국(1722.5t), 러시아(1370t), 스위스(1040t), 일본(765.2t), 네덜란드( 612.5t)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지난해 3·4분기 러시아는 77t을 사들여 전 세계 중앙은행 금 매입량의 44%를 싹쓸이했다. 같은 기간 중국도 50t(29%)을 샀다.

지난해 3·4분기 금을 순매도한 중앙은행은 콜롬비아(6.9t 매도)가 유일했다. 이처럼 신흥국들이 세계 금 시장의 '큰손'으로 떠오르면서 지난 3·4분기 세계 중앙은행이 매입한 금의 총량은 179.5t으로 WGC가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10년 이후 두 번째로 많았다.

세계 중앙은행의 금 매입은 올해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우선 가격이 매력적이다. 지난해 1월 22일 온스당 1330.70달러에 거래되던 금 값은 같은 해 3·4분기 1000달러 초반까지 떨어졌고, 현재 1100달러 내외에서 거래되고 있다. 신(新) '채권왕'으로 불리는 제프 군드라흐 더블라인캐피털 최고경영자(CEO)는 금값이 앞으로 30%가량 치솟을 것으로 내다봤다.

당장 중국은 금 보유량을 공격적으로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인민은행 등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고 있는 중국 인민대학교 중앙금융연구원의 리우잉 주임은 지난 3일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외환보유액에서 금 보유량이 1.65%(지난해 6월 기준) 수준에 불과해 금 보유량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한국은행은 유보적인 입장이다. 금 정책을 총괄하는 이승헌 국제총괄팀장은 "중앙은행은 유동성·안정성·수익성을 모두 감안해야 하기 때문에 (보유 금을 늘릴지 여부에 대해)신중해야 한다"면서 "다음 세 요소 중 어디에 방점을 찍느냐에 따라 중앙은행 간 전략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11년 13년 만에 처음으로 금 40t을 사들인 한은은 2012년과 2013년 각각 30t, 20t을 매입한 이후 한번도 추가 매입하지 않았다.

또 금이 비상 국면에서 현금화할 수 없다는 점도 금 보유량을 늘리기 어려운 점으로 꼽힌다. 현재 우리 정부의 외환보유액은 IMF 권장 수준이지만 당장 꺼내 쓸 현금성 예치금은 3.6%에 불과하다.
나머지 93.8%는 채권·주식 등에 투자돼 있다.

한편, 자본시장연구원은 미 달러화가 조만간 약세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이승호 자본시장연구원 국제금융실장은 '국제자본시장리뷰'를 통해 "2004년 미국 금리 인상 시기에 달러화는 인상 전 6개월간 2.06% 올랐다가 인상 기간에 오히려 3.49% 절하됐다"며 "이번 금리 인상 속도가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라는 점도 추가 달러 강세 가능성을 약화시키는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fact0514@fnnews.com 김용훈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