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 수입차, 서비스 불량에 신고 폭주

      2016.03.16 17:10   수정 : 2016.03.16 17:10기사원문
# 신모씨는 지난해 11월 8000만원을 호가하는 독일 업체의 차량을 구입했다. 그런데 구입한지 한 달만에 해당 차량의 '자동 시동·정지' 시스템 결함 경고등이 들어왔다. 신씨는 공식 서비스 센터 직원으로부터 "블랙박스 상시전원 사용으로 배터리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라는 설명을 들었다. 신씨는 "솔직히 새 차에 그런 문제가 있다는게 이해되지 않았으나 별 문제가 없다고 해 차량 운행을 재개했다"며 "그러나 지난 2월 말에도 '배기가스 경고등'과 자동시동·정지 시스템 결함, 엔진 불량 경고등(EPC)에 불이 들어와 차량을 다시 서비스센터에 입고시켜야 했다"고 말했다.

이후 신씨는 수차례 서비스센터로 연락을 취한 뒤에야 "캠샤프트(엔진 부품 가운데 하나) 문제로 수리를 해야한다"는 답변을 들을 수 있었다.
신씨는 "엔진 고장 원인에 대한 명확한 설명없이 슬그머니 교환·수리하려고 했던 점은 이해할 수 없다"며 "또 주행거리가 약 2000㎞ 밖에 되지 않는 차의 엔진을 수리할 정도라면 엔진 자체의 결함인만큼 리콜을 해야하는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국내 수입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지만 서비스는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불편한 사후서비스(AS)로 소비자들 불만이 가중되고 있다. 새 차를 구입한지 얼마 되지 않아 차량 고장이 잇따르는데다 회사 방침에 따라 교환이 아닌 수리를 고수하는 수입 자동차 업체의 태도 때문이다.

16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수입차 관련 소비자 피해 신고는 지난 2011년 172건에서 2014년 210건으로 22% 늘어났다.

소비자 피해신고가 매년 늘어나는 것은 우선 수입차 시장이 커지고 있어서다. 내수 승용차 시장에서 수입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0년 6.9%에서 지난해 15.5%까지 껑충 뛰었다. 국내 소비자들의 수입차에 대한 불만은 차 자체의 품질보다는 부실하거나 기대 이하 AS에 있다.

실제 소비자들의 불만은 자동차 AS의 핵심인 '수리 및 정비'부문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부품값이 비싸다보니 자연스럽게 정비 비용은 올라가고 고가의 비용을 들인다 해도 정비 시설이 부족해 기대에 맞는 정비를 받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외제차를 타는 회사원 정모씨(33)는 "외제차 혹은 수입차라고 하면 으레 '좋은 차'라는 인식이 있는데 실상은 한번 고장날 경우 사후서비스를 받는데 시간적으로나 금전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어 '애물단지'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고털어놨다.


더구나 지난해 9월 미국 환경청(EPA)이 폭스바겐 디젤차의 배출가스가 조작됐다고 발표한 이후 브랜드 이미지가 크게 추락했다. 당시 국내 소비자들은 해당 차량의 리콜보다 연비 좋은 외제차에 대한 자부심이 무너진데 대한 배신감과 허탈함을 온라인 등을 통해 드러내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차량 구입 후 1개월 내에 중대 결함이 2차례 이상 발생하거나 품질보증 기간(2∼3년)에 같은 결함으로 4회 이상 수리를 받을 경우 차량을 교환.환불할 수 있도록 법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힌만큼 수입차량에 대한 사후서비스도 점차 나아지지 않겠느냐"고 기대했다.

gloriakim@fnnews.com 김문희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