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가 은행의 종말 가져올까? 핀테크를 보는 두 가지 시각
2016.04.13 15:33
수정 : 2016.04.13 15:35기사원문
심윤보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13일 '핀테크의 미래에 대한 상반된 시각 공존'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은행의 미래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소개했다.
먼저 핀테크가 은행의 역할을 축소 시킬 것이라는 견해다.
심 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씨티그룹은 '디지털 파괴'라는 보고서를 통해 핀테크 성장으로 기존은행 인력규모가 2025년까지 약 30%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점업무 자동화, 모바일뱅킹 활성화로 인해 지점이 줄고 핀테크 경쟁심화에 대응해 은행이 조직을 슬림화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실제 핀테크 투자금 대부분이 대출 및 지급결제 분야로 집중되고 있어 향후 은행의 역할이 축소될 전망이다. 현재 대출은 은행의 핵심 수익원이다.
심 연구원은 "저금리 환경 하에서 기존 은행산업 수익의 절반 이상(56%)를 차지하는 대출 경쟁심화로 시장점유율이 감소하면 은행 수익성도 악화될 전망"이라며 "최근 6년간 핀테크에 유입된 190억 달러 중 대출사업부문(46%), 지급결제부분(23%) 등 총 73%가 개인과 중소기업(SME) 금융에 집중돼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아직까지 핀테크의 위협에 대한 뚜렷한 실체가 없으며, 기존 금융사들도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어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현재 핀테크의 75% 가량이 지급결제, 소비자대출 등에 집중돼 있으나 기존은행의 주력사업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실제 지급결제 부문은 은행 수입의 7% 가량에 불과하고, 핀테크가 주력하는 고위험 소비자 대출은 은행의 주력 사업이 아니다.
중금리를 내세우며 최근 확장하고 있는 개인간 대출(P2P)의 경우도 전세계 대출 시장의 약 1%에 불과한 수준이다.
동시에 대형 금융사들도 기술 발전으로 인한 금융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전체 인력의 25%에 달하는 9000명의 기술인력을 고용하며 금융환경 변화에 대처하고 있다. 이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 IT기업 기술인력보다 많은 숫자다.
심 연구원은 "핀테크가 소비자금융 수입의 2~3%만 차지하는 미국, 유럽과 달리 중국의 경우 전자상거래 판매의 96%가 은행의 중개 없이 이뤄지고 있다"며 "핀테크 영향이 국가별 환경에 따라 큰 차이가 나는 만큼 국내 금융사도 기술인력 확충, 조직 유연성 제고 등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