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골탈태 전경련' 해체보다 개혁 나선다

      2016.12.07 17:51   수정 : 2016.12.07 22:07기사원문
'최순실 게이트' 청문회에서 삼성과 SK, LG 등이 전국경제인연합회 탈퇴를 선언하면서 변화의 바람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대중의 부정적 시선에다 다른 회원사들의 추가 탈퇴 가능성까지 불거지며 어떻게든 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거세다. 전경련은 이런 사회의 요구를 수용하고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조직쇄신 방안을 마련하고자 고민 중이다.

전경련은 7일 이승철 부회장 주재로 긴급회의를 열고 향후 진로를 포함한 쇄신안을 논의했다. 쇄신 대상은 전경련은 물론 유관기관인 한국경제연구원, 국제경영원, FKI미디어,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등이 모두 포함된다.
전경련은 소속 회원사들의 의견 수렴에 착수하는 등 이미 실무작업에 들어갔다.

전경련이 어떤 쇄신안을 내놓느냐에 따라 조직의 존속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전경련 관계자는 "청문회에서 나온 총수들의 발언은 전경련의 단순 해체보다는 발전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취지로 보고 있다"며 "이미 이 같은 지적을 계속 받아와 변화를 준비하고 있었다. 다만 '어제의 일'로 탄력을 받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무국은 현재의 여론을 준엄하게 인식하고 있다"면서 "회원사들이 어떤 의견을 내느냐가 전경련의 미래를 결정할 키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도 "각 회원과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듣고 어떻게 전경련이 나아가야 하는지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경제계 현황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조언을 구하는 '싱크탱크'와 업계의 목소리를 하나로 모으는 '친목회'가 돼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 경우 기존 전경련은 친목회가 되고, 산하 한경연의 역할이 커질 수 있다. 전경련도 해체보다는 변화를 최선으로 보고 있다.

구본무 LG그룹 회장도 "전경련은 헤리티지재단처럼 운영하고 기업 간 친목단체로 남아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 특히 정치권도 이 같은 의견을 지지한다는 입장이어서 '큰 틀'은 좁혀졌다는 평가다.

일각에서는 일본 경제단체연합회가 롤모델로 거론된다. 금융투자업계 한 고위 관계자는 "일본 경단련은 정부가 하지 못하는 민간외교사절단 같은 일을 많이 하고 있다"며 "대기업보다는 국익을 위한 대외활동을 펼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하지만 쇄신안 마련까지는 난관이 적지 않다. 당장 공식적인 의견수렴을 위한 회장단 회의를 열기조차 쉽지 않은 데다 '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검찰 수사가 지속되면서 기업은 '내 집 단속'이 더 시급한 상황이다. 지난달 무산된 정례 회장단 회의는 현재도 기약이 없는 상태다.

내년 2월 임기가 끝나는 허창수 회장이 쇄신안을 주도하는 게 맞느냐는 지적도 있다. 최근 기업 총수들이 전경련 회장 자리를 고사하는 분위기가 팽배한 가운데 후임 회장을 찾기도 쉽지 않다.

전경련 직원들의 거취도 문제다.
해체를 하든, 조직의 성격이 바뀌든 현재와 같은 분위기라면 전경련의 조직 축소는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현재 전경련의 임직원 수는 유관기관을 모두 합쳐 250여명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내부에서 어떤 안을 내기는 어렵다"며 "사회 각계각층의 의견을 취합하고 있지만, 국정 일정도 잡기 힘든 상황에서 언제 쇄신안을 발표할 수 있을지 역시 미지수"라고 전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