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까지 글로벌 3D프린팅 기업 5개 키운다

      2016.12.27 12:57   수정 : 2016.12.27 12:57기사원문
정부가 3차원(3D)프린팅산업을 육성해 오는 2019년까지 글로벌 선도기업 5개, 시장점유율 6.0% 달성을 목표로 내세웠다. 여기다 국내외 특허 출원 등을 통해 독자기술 비율도 20%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2015년 기준 국내 3D프린팅산업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4.0%이며, 독자기술 비율은 9.9%에 그치고 있다. 3D프린팅산업 육성에는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예산을 합쳐 내년 350억원이 우선 책정됐다.

정부는 27일 제8차 정보통신 전략위원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3D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3D프린팅 기술은 지난 2012년 이후부터 기존 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켜 제조업 혁신과 신시장을 창출할 핵심기술로 꼽혀왔다. 하지만 국내 3D프린팅산업은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가 여전한 상황이다. 일례로 2015년을 기준으로 3D프린팅산업의 해외 의존도는 △장비 80.5% △소재 87.4% △소프트웨어(SW) 87.5%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3D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을 통해 △글로벌 선도기업 육성 △점유율 제고 △독자기술력 확보를 3대 목표로 내세웠다. 김용수 미래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선진국들은 3D프린팅 기술을 제조업 혁신을 위한 핵심 기술로 선정하고 국가 주도의 정책적 지원을 하고 있다"며 "3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신규 수요 창출, 기술경쟁력 강화, 산업확산 기반 강화, 제도적 기반 강화 등 4대 전략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우선 3D프린팅 시장의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서 국방·철도 등 공공부문의 단종 부품과 맞춤형 제품 제작을 지원할 예정이다. 3D프린팅 기술이 자주 사용되는 치과·재활의학과 등에서도 맞춤형 치료물 제작을 지원할 계획이다. 3D프린팅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시장 수요가 많은 의료·바이오 분야와 지능형 소재 등 차세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기술개발에 집중할 방침이다. 조선, 자동차, 기계 등 주력 산업의 고도화를 위해서도 3D프린팅 기술이 활용될 예정이다.

3D프린팅산업 인프라 고도화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전국 8개지역에 개소한 K-ICT 3D프린팅센터의 기능을 단순 체험교육에서 지역전략산업 분야의 문제해결 등 산업지원 중심으로 센터의 기능을 전환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내 중소 3D프린팅 기업 공동 AS센터 구축 및 해외 판로 개척 등으로 전문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3D프린팅산업의 제도적 기반 강화를 위해서는 장비·소재·SW에 대한 품질인증체계를 마련해 3D프린팅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한국 표준산업분류, 수출입 품목분류체계에 3D프린터 품목을 신설해 통계 기반을 강화하는 한편, 관련 세제지원도 추진할 방침이다.

3D프린팅산업 육성에는 내년 350억원의 예산이 확정됐다.
다만, 미래부와 산업부 예산을 기준으로 나온 수치다. 다른 부처의 예산이 내년 3월 확정되면 3D프린팅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예산은 높아질 전망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3D프린팅산업 예산은 여러 부처가 사업별로 따로 책정한다"며 "우선 미래부와 산업부가 별도로 잡고 있는 예산이 350억원이고 나머지 부처의 예산은 내년 3월이면 확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