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정치 "소통·참여 긍정적" vs. "악성 루머 부작용"

      2017.02.05 17:04   수정 : 2017.02.05 22:06기사원문
#1.지난해 12월 진행된 최순실 국정농단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비선실세' 최순실씨를 모른다고 지속적으로 주장했다. 이를 시청하던 한 네티즌이 김 전 실장의 증언을 반박할 수 있는 영상자료를 찾아 실시간으로 박영선 민주당 의원에게 카카오톡으로 제보했다. 박 의원이 이 제보를 공개하면서 김 전 실장은 "최순실씨를 이미 알고 있었다"고 증언을 바꿨다.



#2.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은 귀국 직후 부친의 묘소를 찾아 퇴주잔을 묘소에 뿌리지 않고 본인이 바로 마셔버리는 것처럼 편집된 13초짜리 동영상이 SNS를 통해 유포되고, 이를 주요 언론사들이 인용하면서 곤욕을 치렀다. 네티즌들은 "대통령선거에 나서겠다는 사람이 전통 관습도 모르냐"며 비판했다.
논란이 일자 반 전 총장 측은 페이스북에 1분40초짜리 전체 영상을 공개했고, 실제로 마신 건 음복잔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반 전 총장은 "페이크 뉴스(가짜 뉴스)로 남을 헐뜯는 것에 기쁨을 느끼는 건 대한민국 국민이 할 일이 아니다"라고 강하게 불만을 토로했다.



정치인들이 개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계정을 만들어 의정활동을 홍보하던 것이 1단계 SNS정치라면, 최근에는 2단계 SNS 정치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국민 개개인이 SNS를 통해 정치인들에게 직접 의견이나 정보를 전달하고, 의원들은 이를 바로 활용하는 이른바 'SNS 정치'가 부상하면서 SNS가 직접 정치참여의 수단으로 자리를 잡은 것이다.

정치권과 언론학자들 사이에서는 'SNS 정치'를 둘러싼 장.단점 분석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정치인들이 국민들의 의견과 정보를 정치에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정치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을 높일 수 있다는게 긍정적 효과다.

반면 개인정보의 무분별한 노출은 물론, 사실관계 확인절차를 거치지 않은 정보가 바로 공개석상에서 활용되면서 '가짜 뉴스'를 만들어내는 원인이 되는 등 심각한 사회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걱정이 확산되고 있다. 또 일부 정치인들이 특정 개인의 의견을 국민 전체의 의견으로 비화해 대의 민주주의의 원칙을 훼손하는 것이라는 비판도 맞서고 있다.

결국 SNS 정치는 잘 쓰면 국민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약이 되지만 잘못 쓰면 사회 분열을 부추기는 독이 되는 '양날의 검' 인 셈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올바른 SNS 정치문화에 대한 논의도 본격화돼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SNS, 직접 민주주의의 주요 창구로 자리잡아

5일 업계에 따르면 SNS 정치가 정치권의 필수조건으로 부상하면서, 이제 정치인이라면 보수와 진보를 가리지 않고 SNS 활용도를 높이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대선주자들 역시 SNS를 통해 국민들과 소통하며, 대선행보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미 대선 사퇴의사를 밝힌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역시 대선출마를 선언하기 직전 SNS 계정부터 만들며 행보를 시작했다. 현재 여론조사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문재인 후보의 트위터 팔로어수는 단연 대선후보 중 가장 많은 120만 이상을 기록하며 두각을 보이고 있으며, 다른 후보들 역시 SNS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고있다.

해외에서도 SNS 정치가 주목받기는 마찬가지다. 대표적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SNS 덕분에 대통령이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트럼프는 대선기간 동안 트위터 게시물 수에서 힐러리 게시물(9837건)보다 확연히 많은 3만3974건으로 앞서 높은 관심을 증명하며 승리를 예고한 바 있다. 취임 후에도 트럼프는 자신의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거침없이 본인의 의견을 피력하며, 지지자들을 결집하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SNS 정치는 정치인들에게 직접적으로 민심을 듣고 소통하는 창구로 삼을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면에서 긍정적인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는 평가다. 또한 이를 통해 국민들의 정치 참여를 높인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일으켰다.

■정보파편화-무분별한 업무방해 우려도 높아

반면 정치인들에게 욕설 등을 보내거나, 지나치게 많은 연락을 하면서 업무에 방해가 된다는 지적도 있다. 또 SNS 이용자의 상당수는 젊은 층에 치우쳐있고, 정보가 파편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크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SNS를 통한 정치가 반대 진영의 논리를 경청하기보다는, 듣고 싶은 것만 듣고 보고 싶은 것만 보는 식으로 정보를 소비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어 사회적 불균형을 심화시키는 부정적 영향이 확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트위터의 경우 불특정 다수를 향해 일방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특징이 있어 일방적 커뮤니케이션 도구에 불과하다는 지적도 있다.
'막말정치'로 유명한 트럼프 대통령의 경우 그의 메시지에는 정무적, 정책적 고려가 전혀 없다는 비판도 쏟아지고 있는 이유다.

이에 SNS 정치가 본격적 확산세를 맞으면서 올바른 SNS 정치문화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조언이 확산되고 있다.


광운대 미디어학과 정동훈 교수는 "SNS 정치의 경우 개인의 사생활과 연결돼 있기 때문에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따라 양날의 검이 될 수도 있다"면서 "확인되지 않은 루머의 전달은 지양하는 등 사용자의 철학과 기본적인 자세가 중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aber@fnnews.com 박지영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