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조기 퇴근하면, 평일 30분 추가 근무.. 전문가들 실효성에 ‘물음표’
2017.02.23 17:31
수정 : 2017.02.23 22:34기사원문
매주 금요일 퇴근시간을 오후 4시로 앞당긴 '가족과 함께하는 날' 지정은 대표적인 '탁상공론' 정책으로 꼽힌다. 한 달에 한 번씩 퇴근을 두 시간 단축한다고 실제 소비 확대로 이어질 수 있겠냐는 회의적 시각이 팽배하다. 특히 평일에는 30분씩 더 근무하는 구조여서 '조삼모사'라는 비판이 거세다.
민간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인데도 강제성은 없다. 초과근무가 일상화된 우리나라 직장문화에서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정해진 업무를 끝마치기 위해 다른 날 잔업을 할 여지도 충분하다. 실제 지난해 근무시간과 장소를 자율적으로 조정하도록 도입된 유연근무제는 30인 미만 중소기업은 도입률이 불과 15%에 그쳤다. 300인 이상 대기업도 52%에 불과했다.
정부는 내달 중 인센티브 방안을 마련해 기업들의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지만 아직 의견수렴 과정조차 거치지 않아 시행 여부조차 불투명하다. 호텔.콘도 객실 요금을 10% 인하하는 안도 회의적 시각이 우세하다. 이미 온라인 및 소셜커머스 등에서는 10%를 훨씬 웃도는 기본 할인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실효성이 없다는 것이다. 특히 할인혜택을 제공하는 호텔.콘도 등에 대한 재산세는 최대 30% 경감해주기로 해 오히려 대기업들의 배만 불리는 꼴이 될 가능성이 높다.
기존에 발표한 정책을 '재탕.삼탕'으로 또다시 내놓은 점도 큰 문제로 지적됐다. 실제 조선업 대형 3사를 특별고용지원업종 지원대상으로 추진하는 안은 지난해 6월 '해운조선업 구조조정 대책'에서 나왔던 대책을 다시 한번 반복한 것이다. KTX.SRT 등 고속철도를 한 달 전 조기예약 시 최대 50% 할인해주는 방안도 재탕정책 중 하나다.
최배근 건국대 교수는 "내수가 활성화되려면 근본적으로 소득이 증가하거나 고용안정이 핵심"이라며 "정부가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가계부채나 부동산 시장 경착륙 가능성은 배제한 채 내수침체 원인에 대한 잘못된 진단을 내리고 있다"고 말했다.
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