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직장 가정 스트레스로 공황장애 환자 많아

      2017.03.19 12:00   수정 : 2017.03.19 12:00기사원문
440대가 직장, 가정에서 받는 스트레스로 공황장애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공황장애' 질환으로 진료 받은 환자는 2010년 5만945명에서 2015년 10만6140명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15.8%씩 증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성별로는 남성이 2010년 2만6198명에서 2015년 4만9669명으로 연평균 13.6% 증가했고, 여성은 2010년 2만4747명에서 2015년 5만6471명으로 연평균 17.9%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정석 교수는 "최근 유명 연예인들이 공황장애를 고백하면서 질환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며 "또 스트레스가 심한 경우 상담을 받는 등 정신과 문턱이 낮아져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가 2만7326명(25.7%)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2만3954명(22.6%), 30대 1만8664명(17.6%) 순이었다.

이 교수는 "40대의 경우 직장생활에서 권위적인 윗세대와 자율적인 아래 세대 사이에서 직무에 대한 부담을 가장 크게 느끼고 있는 세대"라며 "또 건강이 서서히 나빠지고 자녀들의 학업 등으로 가정에서도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환자가 많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공황장애 질환 증가폭이 가장 큰 연령대는 70대 이상이었다. 70대 이상의 공황장애 질환자는 2010년 인구 10만명당 82명에서 2015년 276명으로 3.4배나 늘어났다.


이 교수는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평균의 4배나 되는 국내 노인 자살률을 보면 노인들의 스트레스가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자식 세대의 부양을 받기는 어려워지고 경제적 사회적 소외를 경험하면서 환자가 늘어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황장애 초기에는 가끔 공황발작이 나타나는 것 외에는 큰 문제 없이 지낼 수 있다.
하지만 반복적으로 발작이 나타나다 보면 '내가 몸에 무슨 큰 병이 있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에 건강 염려증이 생길 수 있다. 또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공황발작이 나타나는 상황을 겪으면서 공황발작이 일어날지도 모르는 장소나 상황을 자꾸 피하게 된다.
상황이 지속되면 환자들은 우울증에 빠지거나 술에 의존하고 심한 경우 스스로 목숨을 끊는 경우가 생긴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의학전문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