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경제개발원 ‘사회적경제를 통한 거창 관광상품화 개발 발표회 및 포럼’
2017.03.28 15:12
수정 : 2017.03.28 15:12기사원문
경남 거창지역의 관광산업분야를 활성화시키는 방안의 하나로 사회적경제 캠프 등을 적극 유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회적경제개발원과 헤럴드여행사는 28일 오전 10시 거창군사회적기업지원센터에서 ‘사회적경제를 통한 거창 관광상품화 개발 발표회 및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발표회 및 포럼은 주최기관인 사회적경제개발원 배준호 본부장과 주관사인 거창의 (예비)사회적기업 헤럴드여행사 신중강 대표를 비롯해 거창군 관계공무원 및 언론인, 사회적기업가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프로젝트의 PPT 발표를 맡은 사회적경제개발원 한보라 연구원은 ‘거창 사회적경제 캠프’, ‘거창 힐빙투어’, ‘거창韓(한) 레포츠투어’ 등 3개의 거창 맞춤형 여행 상품 계획을 차례대로 소개했다.
한 연구원은 거창의 관광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거창지역의 다양한 자원과 연계한 새로운 관광상품의 개발 및 거창 지역 관광자원의 활성화로 인한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번 여행상품이 개발됐음을 알렸다.
이어 ▲전국의 사회적기업가와 유관기관 공무원 등을 위한 1박 2일 사회적경제 견학 프로그램인 ‘거창 사회적경제 캠프’ ▲힐링과 웰빙을 더한 슬로우패키지 1박 2일 상품인 ‘거창 힐빙투어’ ▲거창지역의 수려한 자연환경과 폐석산을 활용한 암벽등반을 제안하는 등 각종 체험이 더해진 ‘거창韓(한) 레포츠투어’를 소개하고 각 여행상품의 개발 배경과 상세코스 등에 대해 발표했다.
특히 ‘거창韓(한) 레포츠투어’ 소개에서는 폐채석장 부지에 대해 주민과 업계 종사자, 지자체의 의견을 다방면으로 수렴하고 분석해 효율적인 산림자원을 이용하고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전문가들의 의견도 밝혔다.
따라서 거창군 채석장 부지를 관광자원으로 활용 가능한지에 대한 관광자원 분석이 요구되고 있으며, 폐석산을 스포츠클라이밍(암벽등반)으로 활용하고 폐석산을 이용한 동굴 숙박시설 등 거창군 주변관광지와 연계한 상품 개발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거창군은 현재 (예비)사회적기업 3개, 인증 사회적기업 10개 등 총 13개의 사회적기업이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특히 사회적기업을 홍보하는 전광판도 설치돼 있어 우수한 사회적기업 문화 선진지 시찰 장소로도 특화된 곳이다.
사회적경제개발원 배준호 본부장은 “거창군은 경남도 군단위 최초로 사회적기업 육성 관련조례 및 시행 규칙을 제정해 공포한 지역이기도 하다”며 “사회적경제개발원과 헤럴드여행사는 사회적경제를 통한 ‘거창 사회적경제 캠프’를 비롯해 다양한 거창지역의 자원을 활용한 여행상품 계획 발표로 거창의 사회적경제 활성화와 지역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발표회를 통해 제안된 여행상품의 일부는 올해부터 거창지역을 찾는 여행객들에게 선보일 예정이며, 적극적인 홍보마케팅과 모객이 이뤄진다면 거창의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발표 이후 진행된 질의응답 및 의견발표 시간에서 한 참석자는 “거창군은 사회적경제 범주 안에 드는 마을기업도 활성화가 돼있다”며 “사회적기업은 물론 마을기업까지 연계해 관광상품을 운영하면 그 의미가 더욱 더 깊을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숙박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설치도 돼야하는데 이를 위해 크라우딩펀딩 등을 통해 추진해보면 좋을 것 같다”고 발표했다.
한편, 사회적경제개발원은 사회적경제 전문 컨설팅.교육 기관으로 지난 2013년부터 2년간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의 ‘사회적기업 맞춤형 아카데미 교육’ 프로그램 운영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의 ‘2017 사회적기업 전문 컨설팅 기관’이다.
또 사회적기업을 위한 맞춤형 개발사업과 BI, CI, 브랜드네이밍 등 디자인 작업, 홍보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헤럴드여행사는 착한여행, 책임여행, 공정여행을 추구하는 거창군의 (예비)사회적기업으로써 취약계층에게 고용 및 국내.외 여행기회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사회적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kky060@fnnews.com 김기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