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절대평가 도입 "입시 부담완화 vs. 등급제 악몽 재현"

      2017.07.11 19:29   수정 : 2017.07.11 19:29기사원문

수능절대평가 도입을 두고 학생과 학부모, 교육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절대평가는 지난해 한국사에 이어 올해 영어에도 도입되면서 사실상 확대 시행 시기를 논의하는 단계로, 새 정부에서 절대평가 도입 과목이 얼마나 확대되고 언제부터 시행되느냐가 관건으로 떠올랐다. 학생과 학부모는 물론 일선고교와 입시업계에서도 과거 유사한 평가방식 등과 견주어 변별력과 제도 보완을 중심으로 의견이 분분해지고 있다.



■부담 완화 vs 등급제 악몽 재현 우려

11일 교육계에 따르면 수능 절대평가 도입은 새 교육당국의 주요 대입방향 중 하나다. 김상곤 부총리는 지난 5일 취임 직후 "한국사와 영어 등 수능 절대평가 시범사업이 시작됐고 그것을 절대적으로 확산하는 게 기본 방향"이라며 "전 과목에 절대평가를 도입하는 게 정책 취지로 다만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서 확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교육계는 교육당국의 결정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절대평가를 시행할 경우 수능은 일종의 자격 시험이 되고 학생부전형의 비중이 늘어나는 구조다. 즉, 수능의 변별력이 적어지고 학생부전형의 영향이 커지는 셈이다.

우선 수능 절대평가는 지난 2008학년도 시행됐던 수능 등급제와 유사하다는 게 교육계 평가다. 당시 수능 등급제는 과목별 점수별 등급만을 표시하고 표준점수는 표시하지 않아 등급으로 성적을 가늠하는 방식이었는데, 일종의 절대평가라는 점에서 최근 논의중인 절대평가와 유사했다는 것이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수석연구원은 "(2008학년도) 등급제에서는 가령 1등급의 경우 100점과 90점이 같은 1등급으로 10점 차이가 나는 반면 90점을 받은 1등급과 89점을 받은 2등급은 1점 차이만 나기 때문에 불공정해진다"며 "정시 지원에서도 쏠림현상이 발생하고 특히 최상위권 학생들의 경우 불리한 결과를 얻기도 했다"고 말했다.

실제 등급제는 이 같은 입시혼란으로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2008학년도 한 해만 시행되고 곧바로 폐지됐다.

2008학년도 입시에서는 수험생들 사이에서 희비가 엇갈렸다. 등급제를 통한 입시 결과가 사실상 복불복이었다는 것.

등급제로 상향지원을 하는 분위기가 커지면서 정시 지원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았다.

2008년에 수능을 치른 또다른 직장인은 "당시 학급에서 최상위권이던 학생이 등급제로 이른바 스카이 대학에 진학하지 못했다"며 "반면에 중하위권 학생이 상향지원을 하면서 건국대 법대나 세종대 호텔경영학과 등 중위권 인기학과에 합격하기도 했다"고 언급했다.

등급제 시행 당시 상향지원을 하는 추세로 중위권 대학에서는 지원자가 줄어드는 공동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는 게 입시업계 설명이다. 이에 대학들은 우수한 학생을 놓치거나 지원자 수에 편차가 커지기도 했고, 학생들은 수능에 대한 중압감이 덜 했지만 지원 방식에 따라 결과에 차이가 벌어졌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2021 수능이 전 영역 절대평가로 전환되면 수능 변별력은 지나치게 떨어져, 상위권 대학은 물론 서울 소재 대학 및 지방 거점 국립대 등 수험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대학들은 정시 전형시 수능 중심의 선발 방법에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며 "학생부나 대학별고사 등 다른 전형요소에 의해 합격의 당락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앞서 지난해 절대평가로 치러진 한국사의 경우 사실상 변별력은 없었다. 더욱이 2008년 등급제 시행 당시 정시에서는 수능 외 논술이나 학생부가 함께 반영됐지만 최근 대입정시전형에서는 논술 비중이 줄면서 수능의 영향은 더 높을 것이라는 점에서 변별력을 높이는 전형방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교육.시민단체들, 의견 교차 "세부 계획안 주목"

일선 교육단체에서도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교육을바꾸는사람들,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좋은교사운동, 전국진학지도협의회 등은 기본적으로 절대평가를 찬성하는 입장이지만 세부적인 의견은 다르다.
절대평가 전환 시 9등급으로 시작할 것인지 5등급으로 할 것이냐에 대한 입장 차를 보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동점자 처리방안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반면 공정사회를 위한 국민모임 등의 경우 절대평가가 도입된다면 수능은 변별력을 상실해 무력화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수능이 무력화 된다면 사실상 정시는 폐지나 다름 없는 상황이고 수시로만 학생을 선발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 실제 수시가 경제력에 따른 영향이 커 이른바 현대판 음서제라는 평가가 많아 우려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생부전형의 영향력이 더 높아지는 것은 우려스럽다는 평가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