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정치혁신을 원한다
2017.07.24 17:27
수정 : 2017.07.24 17:27기사원문
한겨울 제주도 여행을 간 적이 있다. 뼈 시린 겨울바다도 마다 않고 물속을 들락거리며 무언가 퍼 올리는 이들이 보였다. 제주 해녀다.
"비결은 뭔 놈의 비결이야. 어제도 들어갔으니까 오늘도 들어갈 수 있는 거지."
흔히 '혁신'을 생각할 때 마법 같은 순간을 기대한다. 불현듯 찾아오는 '유레카!'의 순간처럼 갑작스러운 계기로 변하고, 파격적으로 개조해야 성공의 길로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혁신은 해녀처럼 찾아오는 것이다. 하루도 거르지 않고 바다에 들어가는 꾸준함이 지속됐을 때 비로소 시린 겨울바다도 두렵지 않게 된다.
정치권이 또 혁신 타령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조만간 '매머드급 혁신위원회'가 구성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로써 원내교섭단체 4당이 이름만 조금씩 다를 뿐 모두 혁신위를 구성하게 됐다. 이미 구성된 각 당 혁신위는 급진적 개혁방안을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대선 패배로 정권을 내준 자유한국당은 '뚜렷한 극우화'를 선언했다. 제보조작 파문으로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진 국민의당은 '최고위원회 폐지'를 제안했다. 바른정당도 스탠딩 회의를 도입하는 등 '탈권위주의'를 위한 파격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근본적 체질 개선이라기보다는 위기탈출을 위한 단기처방에 가깝다.
조심해야 한다. 자극적 형태의 혁신안일수록 그저 보여주기용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 한두 달 여론의 관심을 끌다 이내 소리없이 사라지곤 했다. 정당 위기 때마다 늘 혁신이 등장했지만 언제나 실패한 원인이 여기에 있다. 장기적 안목이 필요하다. 정당개혁을 위해 서서히 바꿔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진지한 고민이 먼저다.
조급하면 안 된다. 모든 것을 하루아침에 해결하려 하면 오히려 더 어려워진다. 100점짜리 혁신안을 내놓기 위해 머리를 싸매지 않아도 좋다. 10점짜리일지라도 지속 가능한 혁신안이 나왔을 때 국민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얼음장처럼 차가워진 국민 마음속으로 단숨에 들어갈 방법은 없다. 아서라. 당분간 욕먹을 각오는 해야 한다. 느리지만 꾸준하게 바뀌어야 한다.
golee@fnnews.com 이태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