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끊겨도 본인인증되는'스마트 키'도입하자"

      2017.08.23 18:22   수정 : 2017.08.23 22:51기사원문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홈, 스마트 카, 스마트 시티 등에 적용할 '스마트 키'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대규모 정전 및 지진이나 해킹 등으로 인해 모든 인터넷이 마비돼도 이용자 본인을 인증할 수 있는 전자신분증을 발급해 운영해야 합니다. 미국.일본 정부는 물론 유엔(UN.국제연합) 본부와 글로벌 금융기관 등은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한 '지문 스마트 카드'를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 역시 전 국민을 대상으로 수집한 지문을 주민등록등본 등을 발급하는 데만 쓰지 말고, 스마트 시대를 여는 '만능열쇠'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이 핵심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모든 것이 연결된 사회에서 '블랙아웃(대규모 정전 사태)'이나 사이버 테러가 발생하면 어떤 상황이 벌어질까. 당장 본인을 인증할 수 있는 수단이 모두 차단된 이용자는 인터넷이 복구될 때까지 집안 생활가전이나 자율주행차 등을 제어할 수 없게 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이에 따라 온라인은 물론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지문, 홍채, 안면인식 등 강력한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이용자 스스로를 입증할 수 있도록 사회적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조언이 제기됐다.

■지문을 등록한 사람만 이용할 수 있는 스마트카드

화웨이 최운호 최고사이버보안책임자(CSO)는 23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국회 4차산업혁명포럼' 주최로 열린 '퓨처스아카데미'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스마트 키(Smart Key)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IoT로 모든 것을 연결하는 작업을 마친 후, 보안 시스템을 재구축해야 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 이뤄지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기반으로 한 본인 인증은 해킹에 취약한 것은 물론 초연결사회의 수단이 될 수 없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에 따라 미국 정부는 오는 2021년까지 '노 패스워드(No Password, 비밀번호 미사용)' 환경을 구축키로 했으며, 인도 정부는 전 국민의 신분증을 지문 등 생체인식카드로 전환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또 유엔과 유엔 산하기관은 지문을 등록한 사람만 이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카드 한 장(유엔 원 스마트카드)으로 출입과 컴퓨터 접속이 이뤄지도록 지원하고 있다. UN난민기구 최고정보보호책임자(CISO)도 역임했던 최운호 CSO는 "지문형 스마트카드는 생체정보에 기반을 두기 때문에 잃어버리거나 도난을 당해도 다른 사람이 절대 이용할 수 없다"며 "유엔은 임직원 뿐 아니라 난민을 위한 스마트카드도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른바 '유엔난민카드'는 식량 배급과 난민 안전관리에 있어서 '맞춤형 복지 바우처 역할'을 할 것이란 게 그의 설명이다.

■지문 정보는 단말에만 저장..개인정보노출 위험 없다

하지만 시민단체와 업계 일각에서는 민관과 국제기구에서 수집하고 있는 생체정보들이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와 관련 최운호 CSO는 "전자주민증 논란이 일던 5년 전과 비교하면 지문인증 기술과 환경이 많이 발전했다"며 "현재 스마트폰 이용자의 대다수가 지문인증을 활용할 만큼 인식이 확산됐으며, 생체정보(개인 키)는 각 단말에만 저장되고 암호화된 공개 키만 인증을 위해 공유되기 때문에 개인정보 노출 위험도 낮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회 4차산업혁명포럼은 오는 25일 부산광역시와 함께 '부산형 스마트시티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올해 퓨처스아카데미-시즌2는 '4차 산업혁명, 현장에서 답을 찾다'를 기치로 내건 만큼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등을 현장방문할 예정이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