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이란 전운 감도는 걸프만.. 오일쇼크·한반도위기 재앙 부르나

      2017.11.12 17:12   수정 : 2017.11.12 17:12기사원문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간 전운이 감도는 가운데 양측의 충돌은 유가를 200달러대로 끌어올릴 것으로 예상됐다. 한반도 위기 역시 고조될 것으로 우려됐다.

컨설팅업체 프린스턴에너지어드바이저스의 스티븐 코피츠는 11일(현지시간) CNBC 기고문에서 이란이 배후로 의심을 받고 있는 예멘 후티족 반군의 사우디 미사일 공격 시도로 사우디와 이란 간 전쟁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면서 이같이 경고했다.

게다가 이전 같으면 전쟁 억지에 나섰을 미국이 지금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강성발언 등을 통해 되레 긴장을 부추기고 있어 양측이 충돌할 가능성은 점증하는 상황이다. 사우디 관영 SPA통신에 따르면 사우디 정부는 이번 미사일 공격 시도에 대해 '대응할 권리'를 갖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사우디·이란 전이 현실화하면 그 결과는 재앙적 수준이 될 것으로 코피츠는 우려했다.

우선 유가 폭등과 그에 따른 세계 경기 침체다. 전 세계 석유공급의 약 20%를 담당하는 걸프지역의 전운이 공급감소 우려를 불러 유가를 끌어올릴 수밖에 없다. 특히 북쪽으로는 이란, 남쪽으로는 오만을 가로지르는 호르무즈해협은 폭이 좁아 주요 석유운송항로이자 주요해상항로인 이 항로는 언제든 지나는 선박이 공격당할 가능성에 노출된다.

이는 해상운임 폭등을 부를 수 있다. 호르무즈해협에서 선박 피해가 없다고 해도 보험사들이 보험을 거부하거나 보험료를 대폭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선박 소유주들 역시 유조선 격침 위험을 무릅쓰느니 이 지역 운항을 잠정중단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되면 세계 경제는 즉각적이고 심각한 충격을 피할 수 없다.

걸프지역 석유수출이 전면중단되면 유가는 배럴당 200달러대로 폭등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전 사례는 이를 잘 입증한다. 1957년 수에즈운하 국유화를 선언한 이집트를 영국과 이란이 번갈아 침공하면서 벌어졌던 수에즈 위기 당시 세계 석유공급은 10% 급감했고, 한달도 안돼 미국과 유럽은 경기침체에 직면했다.

아랍·이스라엘 전쟁으로 빚어진 1973년의 '1차 오일쇼크'는 충격이 더 컸다. 아랍 석유수출국기구(OPEC) 산유국들이 석유수출을 중단하면서 유가가 4배로 폭등했다.

연간 전체로는 세계 석유공급에 차질이 없었지만 단기적인 충격과 아랍국가들의 대미 석유수출 금지가 미 경제를 2년간의 침체로 이끌었다. 당시 걸프지역 산유국들의 대미 석유수출이 미 전체 석유수요의 약 7%에 이르는 하루 120만배럴이 줄어든 결과였다.

코피츠는 셰일석유가 있지만 지금도 미국 사정이 크게 다르지는 않다고 지적했다. 여전히 걸프지역 석유수입은 미국 전체 석유소비의 8%에 이른다. 특히 지금은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가들과 나이지리아 등의 석유를 놓고 수입경쟁을 벌여야 해 당시보다 상황이 더 좋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

그나마 미국은 셰일석유가 다시 붐을 맞으면서 일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겠지만 유럽과 동아시아, 특히 일본과 한국은 가장 큰 충격에 노출될 것으로 코피츠는 우려했다. 산유국 중국도 암울하기는 마찬가지다. 중국은 전체 석유소비의 75%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절반은 걸프지역 산유국들로부터 수입한다.


나아가 사우디·이란 전쟁은 한반도 위기 고조의 배경이 될 것으로 우려됐다.

북한과 이란 간 미사일 협력을 감안할 때 북한 핵무기가 이란에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미국이 압박을 높이면서 미·북 간 긴장이 고조될 것이기 때문이다.
코피츠는 미국이 북한 핵무기의 이란 유입 봉쇄를 정책 최우선 순위로 다루게 되면서 한반도 위기가 급속히 악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