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재정악화 우려가 美10년 금리 60bp 상향…향후 '인플레 기대심리' 주목

      2018.02.19 08:50   수정 : 2018.02.19 11:33기사원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으로 인한 재정 악화 우려가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를 60bp 가량 끌어올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트럼프 효과에 따른 재정 악화 우려는 최근 1년간 금리 변화 분을 고려할 때 60bp전후로 추정된다”면서 향후 미국의 재정이 얼마나 더 악화될 지 추산했다.

2017년 기준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재정적자는 3.7%전후다.

비영리 예산 연구기관인 책임 연방예산 위원회(Committee for a Responsible Federal Budget)에 따르면 세법 개정과 예산안 통과 이후 미국의 GDP 대비 재정적자는 2020년까지 5.5%까지 증가하게 된다.

GDP 대비 재정적자는 3.7%에서 5.5%로 증가하는 것이므로 1.8%p악화 된다.

문홍철 연구원은 “이를 앞의 연구들과 비교하면 재정적자 증가로 인한 미국채 10년물의 금리 상승 효과는 보수적으로 추정했을 때 대략 40~50bp”라고 설명했다. 현재 대다수 연구에 근거하면, GDP 대비 재정적자가 1%포인트 증가 할 때마다 국채 10년물 금리는 20~25bp가량 상승한다.

여기서 트럼프 당선 요인을 함께 고려했다.


그는 “2016년 11월 트럼프 당선 시부터 미국채 금리가 급등했는데, 주된 원인이 트럼프의 재정확대 정책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 따라서 재정 악화에 대한 금리 반영은 이미 2016년말부터 시작되었다고 봐야 한다”고 했다.

당선 직전인 11월 8일부터 올해 2월 16일까지 미국채 금리는 100bp 상승했다. 문 연구원은 “요인 별로 분해하면 기대인플레 +34bp, 텀프리미엄 +15bp, 장기균형실질 기준금리 변화 +51bp다. 재정 악화의 영향은 장기균형실질 기준금리 변화분과 텀프리미엄에 동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66bp”라고 해석했다.


결과적으로 재정악화의 상당부분은 미국채 10년 금리에 상당부분 선반영됐으며, 재정 지출확대 효과만으로 미국채 금리가 현재보다 더 오르는 것은 심리의 영향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문 연구원은 “올해 11월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이 패배할 가능성이 크고 유류세 인상은 재정을 소폭 개선시킬 것”이라며 “뮬러 특검도 계속 이슈를 만들고 있기에 트럼프의 정치 기반과 정책 실행에 대한 의구심이 끊임없이 제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런 면에서 이제부터는 미국채 금리에 재정보다는 인플레 기대심리가 훨씬 중요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crystal@fnnews.com 구수정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