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호텔까지 파고든 AI 스피커 열풍

      2018.07.15 17:17   수정 : 2018.07.15 17:17기사원문


'인공지능(AI)이 호텔로 들어가고 있다.'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업계가 인공지능(AI) 기술이 적용된 스마트 스피커를 호텔에 잇따라 적용하고 있다. 업계는 호텔을 방문하는 다양한 고객들이 AI 기술을 접할 수 있도록 해 저변을 확대하고, 기계학습이 중요한 AI 플랫폼에 다양한 데이터를 확보 하겠다는 전략이다.

또 기존에는 스마트 스피커 확산을 위해 일반 소비자 시장을 주로 공략했지만 기업용(B2B) 시장도 공략할 예정이다.

■아마존·SKT·KT 등 '호텔로'

15일 ICT 업계에 따르면 국내외 기업들이 잇따라 AI를 호텔에 적용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아마존은 최근 '알렉사 포 호스피탈리티(Alexa for Hospitality)' 서비스를 발표했다.
이 서비스는 아마존의 AI 플랫폼인 알렉사를 호텔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뒤 스마트 스피커인 에코에 탑재해 공급하는 것이다. 에코가 있는 객실에 방문한 고객들은 에코에 호텔 정보를 묻거나 룸서비스를 부탁할 수 있다. 호텔 내 스파를 예약하거나 컨시어지에 연락을 할 수도 있다. 호텔 서비스를 위해 그동안은 객실에 비치된 전화를 이용해야 했지만 이제 에코에 말하면 되는 것이다. 이 외에도 객실에 비치된 에코는 조명, 에어컨, 커튼, TV 등 다른 기기도 제어할 수 있다. 기존에 에코를 사용하는 고객이라면 자신의 계정을 연동해 평소에 즐겨 듣던 음악을 듣는 것도 가능하다. 객실에 등록한 아마존 계정은 체크아웃을 할 때 삭제된다.

이 서비스는 우선 미국 메리어트 호텔 계열에 먼저 적용된다. 앞으로 아마존은 다양한 숙박업체에 알렉사 포 호스피탈리티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도 호텔 시장을 자사 AI 플랫폼인 '누구'의 새로운 시장으로 설정했다. SK텔레콤은 올 3·4분기 중 워커힐 서울호텔에 스마트 스피커 누구를 비치해 고객들이 객실 내 조명, 커튼, 온도 등을 누구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KT의 경우 노보텔 앰배서더 동대문 호텔에 자사 스마트 스피커인 기가지니를 비치해 조명과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 컨시어지에 전화를 걸지 않고 기가지니에 호텔용품을 신청할 수도 있다.

■AI 이용경험 확산한다

AI 플랫폼을 보유한 ICT 업계는 호텔을 통해 AI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소비자들에게 인식시키겠다는 전략이다. 호텔은 객실 환경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개별적인 조작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또 룸서비스나 호텔용품 등을 요청할 일도 많다. 기존에는 이런 역할을 객실에 비치된 제어기기나 전화로 했지만, 스마트 스피커로 기능을 통합해 자연스럽게 AI 이용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시장을 확대한다는 측면에서도 유용하다.
주로 일반 소비자 시장을 대상으로 했던 스마트 스피커가 숙박업에도 확대되면 더 많은 시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SK텔레콤은 누구의 확산을 위해 CU편의점을 운영하는 BGF리테일과 협력해 CU편의점 근무자들이 매장 운영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누구를 배치하기도 했다.


업계 한 전문가는 "다양한 스마트 스피커가 시장에 나와 있지만 아직 이용해보지 않은 사람들이 더 많다"며 "스마트 스피커를 다양한 곳에 적용해 소비자들에게 익숙하도록 만드는 것이 업계의 목적"이라고 말했다.

ronia@fnnews.com 이설영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