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나랏빚 문제없나?
2019.01.09 15:47
수정 : 2019.01.11 10:15기사원문
■국가채무 비율, 인도·중국보다 낮아 양호
9일 기획재정부의 ‘2017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를 보면 지방정부 부채를 포함한 국가 전체채무는 660조7000억원이다. 전년에 비해 33조8000억원(5.3%) 늘었다.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비율(국내총생산에서 국가채무가 차지하는 비율)은 1990년대 중반까지 10% 수준이었다. 그후 1997년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늘기 시작해 2009년 이후에는 30%대를 유지하고 있다. 2017년 국가채무비율은 38.2%다.
정부는 국가채무비율을 양호한 수준이라고 단언한다. 기재부의 2018~2022년 국가채무관리계획을 국제기준에 따라 재산출한 우리나라의 일반정부 부채 비율(국가채무 비율)은 43.7%(2016년 기준)로 집계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13.3%의 절반도 안된다. 일본(222.4%), 프랑스(123.5%), 영국(121,15), 미국(107.7%), 독일(76.5%)보다도 크게 낮다. 미국의 경제전문 웹사이트인 '하우머치닷넷'에 오른 국가 채무통계 기준으로 보면 일본은 국가채무비율 1위다. 그리스(182%), 바베이도스(157%), 레바논(147%), 이탈리아(132%)가 그 뒤를 이었다.
반대로 국가채무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홍콩으로 0.1%에 불과하다. 그 뒤로 사우디아라비아(17%),러시아(16%),아랍에미리트연합(20%) 등이다. 산유국들이 비교적 국가채무비율이 낮다. 경제 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채가 낮은 곳은 인도와 중국으로 각각 71%와 47%를 기록했다. 40%대인 우리나라는 부채 비율은 비교적 낮은 국가 그룹으로 분류돼 있다. 민간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일본의 경우 표면적으로 국가부채비율이 높지만 채권 대부분을 자국민이 보유하고 있는 데다 외환보유액 규모도 세계 2위에 달해 부채비율이 높아도 재정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외환보유액 세계 8위…역대 최대
우리나라는 국채금리에 비해 성장률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국가부채로 인한 이자 부담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요인이다.지난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실질 국채금리에서 실질성장률을 뺀 값은 -2.8%포인트로 주요 선진국 평균(-2.3%포인트)보다 아래다. 우리나라의 실질 성장률과 실질 국채금리 격차는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뒤 마이너스 1.7%포인트까지 줄었으나 이후 성장률이 상승하고 국채금리가 내리며 개선됐다.
더구나 외환보유액도 작년 말 현재 4036억9000만달러로 역대 최대치다. 전달보다 7억1000만달러 늘었다. 외환보유액은 세계에서 여덟번째로 많다. 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7년 12월 39억달러까지 줄었던 외환보유액은 21년 새 100배 이상 늘었다. 국채, 정부기관채, 회사채, 자산유동화증권(MBS, 커버드본드) 등 유가증권이 3796억달러로 94%를 차지한다. 예치금은 137억3000만달러로 3.4%다. 우리보다 외환보유고가 많은 나라는 중국(3조617억달러),일본,스위스(7960억달러),사우디아라비아(5041억달러),러시아(4621억달러),대만(4614억달러),홍콩(4232억달러)이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국가채무 위험도는 대체로 낮은 편이지만 공기업의 부채 수준은 상대적 높은 만큼 중장기적으로 관리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win5858@fnnews.com 김성원 산업·경제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