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미 대화동력 언제쯤 재개되나.. "포인트는 '4·27 판문점선언 1주년'"
2019.04.16 16:41
수정 : 2019.04.16 16:41기사원문
지난 11일 한미정상회담 결과가 마땅한 상황 반전 없이 마무리되면서, 남북미 대화분위기에 다시 불씨를 붙일 다음 포인트는 4·27 판문점선언 1주년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홍규덕 숙명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우리 정부는 4·27 판문점선언 1주년의 의미를 살리자는 차원에서 직간접적으로 모든 채널을 통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2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한미연합훈련을 또 비난했지만, 대화 모멘텀을 아예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홍 교수의 분석이다.
남북 군 당국간 군사합의 이행에도 제동이 걸렸다는 평가다.
군 관계자는 "남북 군사당국간에는 동서해지구에 군 통신선이 있어서 우선 정기적으로도 서로 통화를 하고 필요한 사항이 있으면 전달도 하며 꾸준히 조치가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군사합의 이행과 관련해 "북측 상황을 기다리고 있다"며 "북한의 4월은 내부 행사로 바쁜 달"이라고 말했다.
남북공동유해발굴과 JSA 자유왕래 등과 관련해 북측에 대화를 제안한 적 있냐는 질문에는 "구체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라며 "군 통신선이 잘 운영되고 있다"는 답변으로 핵심적인 대답은 피했다.
홍 교수는 "(남북대화의) 불씨가 꺼지거나 남북관계가 경색되거나 위기에 봉착했거나 하는 인상을 주지 않겠다는 게 현정부의 생각"이라며 "(상황이) 아무리 힘들어도 그런 내색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현 상황에서 북한이 남북카드를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에 따라, 군사합의 폐기 등 극단적인 선택은 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는 4·27 판문점선언 1주년은 북한에게도 숙제라며 그냥 넘기진 않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온다.
홍 교수는 "김 위원장이 북한 매체를 통해 1주년 메시지를 전하거나 대북특사를 받아주는 등 문재인 정부의 체면을 살려주기 위한 행동을 보이는 게 현재로선 가장 유력해보인다"고 말했다.
ju0@fnnews.com 김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