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건설투자 4.1% 줄어… 성장률 0.6%P 하락시킬 것"

      2019.07.01 18:49   수정 : 2019.07.01 18:49기사원문
"올해 하반기 금리가 인하되면 수도권 하락폭이 둔화될 전망입니다. 기존 주택 보유자들이 대출을 통해 전세가 하락폭을 극복하고 급매물을 거둬들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올해 하반기 역시 정부 규제로 집값이 하락될 것으로 보이지만 수도권의 경우 상반기보다는 하락폭이 둔화될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지방의 경우 수요 여력이 약한 상황에서 지속적인 미분양 증가에 따른 하방 압력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일 '2019년 하반기 건설·주택 경기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고 "올해 하반기 동안 전국 매매가격이 0.7% 하락하고, 전세가격도 1.1%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매매가격의 경우 하반기 동안 수도권 0.5%, 지방 0.9%, 전국 0.7% 하락해 시장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전세가격은 준공이 계속됨에 따라 상반기와 유사한 수준으로 1.1% 하락해 연간으로는 2.5% 하락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전세시장은 2004년 -5.8%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하반기에는 금리 인하가 수요 창출보다는 저가 매물 유입을 줄여 기존 보유자의 리스크를 감소시키는 방향성이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김성환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유동성 증가에 의한 주택시장 변화 기대가 존재한다"면서 "그러나 경기 악화에 따른 가계 지불 능력 위축 요인이 오히려 크다"고 말했다.

토지보상금 증가에 따른 상승 요인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으나 정부가 대토보상, 시기 조정 등을 통해 시장 영향을 최소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부연구위원은 "최근 들어 서울 강남권의 재건축,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일부 수요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면서 "하지만 대출 규제, 공시가격 상승 이후 하반기 세 부담 현실화 등의 상황을 고려하면 추가적 수요 유입 여력이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지방 대부분 지역의 주택 경기가 어렵고 전반적인 거래 감소로 인해 가격 상승장과 하락장으로 단순화됐다"면서 "상대적 호조세인 대전, 대구, 광주 지역을 분석하면 노후주택 비중, 지역 경제 활성화 정도 등이 복합적으로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분양시장도 유동성 확대, 분양가 규제 상황을 고려하면 입지와 분양가에 따른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김 부연구위원은 "미분양 증가, 사업 장기화, 수익형 상품 어려움 확대 등 주택사업자의 리스크가 커지고 있어 하반기에는 리스크 관리가 기업의 핵심 역량이 될 것"이라며 "특히 상가, 오피스텔, 지식형 산업센터 등 개인에게 판매한 분양형 비주거용 상품의 리스크가 가장 크다"고 분석했다.

이와 더불어 올해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 대비 5.8% 감소한 145조5000억원으로 예측됐다. 특히 하반기에 13.3% 감소해 감소세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올해 국내 건설수주 145조5000억원은 2014년 107조5000억원 이후 5년래 최저치다. 2015년 이후 지속된 수주 호황국면이 종료될 것으로 판단된다.

올해 건설수주 감소의 주된 원인은 도시재생사업과 생활 SOC 발주로 인한 공공 수주 증가에도 불구하고 민간 수주가 주택, 비주거 건축부문을 중심으로 상당 수준의 감소세를 이어가기 때문이다.


한편 건설 경기 동행지표인 건설투자도 전년 대비 4.1% 감소해 2018년 -4.3%에 이어 2년 연속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홍일 연구위원은 "올해 건설투자가 전년 대비 4.1% 감소해 경제 성장률을 0.6%p 하락시키고, 취업자 수를 13만8000명 감소시킬 것으로 추정된다"며 "건설 경기의 하락세가 과거보다 2배 이상 빠르게 진행돼 경착륙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거시경제와 일자리에 미치는 충격이 매우 클 전망"이라며 "정부 발표 투자 활성화 대책의 신속한 추진, 2020년 정부 SOC 예산의 증액 편성, 부동산 규제 강도 조절을 통한 주택투자의 급락세 방지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kmk@fnnews.com 김민기 기자

Hot 포토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