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잔치로 끝난 개성공단·이산가족 상봉
2019.09.18 18:13
수정 : 2019.09.18 18:13기사원문
실제로 문 대통령이 9월 평양정상회담을 맺고 돌아오던 시점까지만 하더라도 이 같은 과제의 해결에 대해 합의를 이룬 남북 관계는 새로운 시대, 새 국면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희망으로 넘쳤다. 하지만 1년이 지난 지금은 달라진 것이 없다.
18일 외교당국에 따르면 지난해 9·19 당시 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9월 평양공동선언을 통해 남북 교류·협력을 발전시켜나가는 데 동의했다. 특히 선언문 2조에는 남북 경협의 핵심적 과제가, 3조에는 이산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합의가 포함됐다.
만성적 경제·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에 직접적이고 확실한 효과를 보장할 수 있는 개성공단 가동·금강산관광 재개는 강력한 대북제재에 가로막혀 한 발짝도 진전이 없다.
북한이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서 진정 핵을 포기하겠다는 분명한 의사를 실천으로 옮겼다면 미국과 국제사회가 상응조치로 대북제재를 완화하고, 그 과정에서 개성공단 가동·금강산관광 재개 시나리오는 충분히 실현 가능성이 있었다.
하지만 비핵화 협상에서 열쇠를 쥔 북한은 단계적 비핵화만 고수했고, 미국은 최대 압박으로 맞서면서 비핵화협상은 틀 자체가 위협받았고, 북·미 관계라는 큰 틀 속에서 움직이는 남북관계 역시 다시 지난해 훈풍을 무색하게 하는 냉랭한 관계로 복귀했다.
실제로 개성공단 기업인들은 개성 내 시설 점검을 위해 어렵게 정부의 방북승인을 받았지만 북한이 무응답으로 나오면서 성사되지 못했다. 북한은 남북관계 개선에 공이 있는 정몽헌 전 현대그룹 회장 추모행사마저도 내부사정을 이유로 거절했다.
금강산관광 역시 개성공단과 함께 남북경협의 상징으로 재개 시 남북 간 민간교류의 장이 열리고, 이산가족 상봉 등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대북제재의 연장선에 있고, 특히 미국은 비핵화 증거 없이 제재완화는 없다는 확고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인도적 차원의 문제인 이산가족 상봉도 남북관계에 훈풍이 불던 지난해 8월 개최된 이후 한 번도 열리지 않고 있다. 또 금강산 지역 이산가족 상설면회소 개소와 이를 위한 면회소 시설의 조속한 복구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남북 적십자회담을 통한 이산가족 화상상봉과 영상편지 교환 문제도 우선적으로 해결하기로 했으나 회담은 개최조차 안됐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